본문
-
한암 선사 <참선곡> 구조의 역동성
- 주제한암 선사 <참선곡> 구조의 역동성
- 시대현대시대
- 저자전 재 강 (안동대학교 교수)
상세소개
위로 가기방한암 선사는 최근세 한국 불교 조계종의 초대 종정을 지낸 인물이 다. 경허, 학명, 만공 등 근세의 선사들이 각기 개성적 삶의 모습을 보였 듯이 한암도 이들과 구별되는 특징적 삶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들이 모두 불교 가사를 남기고 있으며 어떤 형태로든 선을 매우 중시 했다는 점은 닮아 있다. 불교 가사 창작에 있어서 경허, 학명, 만공 등이 <참선곡> 이외에 다 른 불교 가사 작품을 남겼다면 한함은 <참선곡> 단 한 작품만 남기고 있다. 작품 창작의 현황에서 이미 다른 작가와의 차이가 감지된다. 한암 은 한 작품을 남겼지만 그의 작품은 다른 작가의 <참선곡>에 비하여 매 우 길고 내용도 복잡한 양상을 보여 준다. 또한 불교 가사의 역사적 전 개상에서도 승려 신분으로 가사를 창작한 마지막 작가가 한암이라는 점 에서 불교 가사의 귀결점을 찾는데 그의 가사는 주목 받을 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내용에서도 그 앞 시대 불교 가사가 미타사상과 같 은 선 이외의 불교 사상을 중요하게 다루었으나 한암은 작품에서 禪的 내용을 절대적으로 강화하고 선 수행의 구체적인 방안까지 표현하고 있 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더구나 이 작품은 작가가 45세 시에 금강산 건봉사 참선결사를 지도하는 현장에 실제 사용하기 위하여 법어나 게송 창작과 함께 지은 것으로 창작의 구체적 배경과 사용처가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는 점에서 연구할 의의가 큰 작품이다. 지금까지 한암의 불교가사에 대한 연구는 작품을 발견하여 소개하고 작가를 조명하는 데서 시작하여 작품에 표현된 사상의 구체적 내용을 규명하고, 작품의 문면을 구성하는 표현이 주로 선대 어느 작품에서 유래 했는가에 대한 구체적 전고 인용의 실태를 파악하는 방향으로 진행되 었다. 본고는 선행 연구가 이룩한 업적에 도움을 받으면서 작품이 갖는 총체적 구조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작품에 어떤 사상이 표현되어 있 는가, 작품의 구체적 표현들은 앞 시대 어느 작품에서 유래했는가라는작품 표현과 내용의 실체를 파악하는 일은 연구의 선행 조건으로서 중요 하다. 그러나 문학 논의는 문학 작품이 가진 구체적 성격이나 특성을 밝 히 데까지 나가야 한다고 보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본고는 작품 전체의 여러 부분들이 상호 어떤 관계 질서에 의하여 유기적으로 한 작품을 구 성하는지 그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암의 <참선곡>은 겉으로 보아 그 앞 시대 기존의 불교 가사 작품에서 적절히 집구하여 만든 듯하나 실 제는 작가의 주도면밀한 의도에 따라 역동적 작품의 구조를 연출하고 있어서 불교 가사로서 독창성과 함께 문학성도 어느 정도 획득하는 성과 를 달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누가 어떤 목소리로 누구에게 말하는가를 알려주는 시적 화자, 어떤 방식으로 말하는가를 나타내는 담화방식을 먼저 살핀다. 그리고 이런 부 분들이 각각 별개로 있는 것이 아니라 매우 밀접하게 상호 작용하면서 여러 단락을 의미있게 구성하여 작품이라는 전체의 의도를 구현하고 있 기 때문에 전체 작품을 구성하는 단락의 특성도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연출된 작품의 전체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한암 가사 연구의 기본 자료는 한암집 , 한암일발록,불교가사원전연구 를 사용했고 이들 자료에 실린 한암의 <참선곡>을 연구 대상 자료로 삼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