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원정사 탑돌이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오대산 원정사 탑돌이

  • 주제오대산 원정사 탑돌이
  • 시대1950년
  • 저자원행(遠行) - 월정사부주지
목차
위로 가기 오대산 원정사 탑돌이
원행(遠行) - 월정사부주지
1. 머 리 말
2. 월정사팔각구층석탑
3. 월정사팔각구층석탑의 사리장엄구
4. 월정사석조보살좌상
5. 탑돌이 생성과정
6. 탑돌이 해설(제1차- 1978. 10. 13)
7. 탑돌이 해설(제2차 -2007. 10. 05)
8. 오대산 월정사 유래
9. 강원도 태백문화제
10. 평창군 노성제
11. 맺음말

상세소개
위로 가기

문화는 그 시대의 삶의 모습과 형태이면서 관습과 미래창조의원동력이면서 과거를 되돌아보는 거울이다. 그러므로 문화민족은그 전통을 계승 발전시키지 못 하는 민족은 멸망하는 것이다. 오대산 월정사는 신라시대 자장율사 창건 이래 (AD 643년)1,400여년 동안 중창에 중창을 거듭 하면서 창건이후 8번째로최근은1950년 6.25동난시 아군의 작전에 의하여 당시 명령자 아군의김백일 장군 명령으로 전 도량이 전소되어 오직 8각 9층 석탑만이기울어져 있었다. 지금 국보48호인 8각9층 석탑만이 도량을지키는 황폐한 도량으로 전락 되었으며 당시 6.25 사변 이후빨치산무장공비 등 울진 삼척 공비 출현등으로 신도와 수행승은없었으며 비운에 접하게 되었다. 오대산 월정사는 강원도 3대분사로서 금강산 유점사와 설악산건봉사와 함께 강원도 암하호불의 도민 정신과 불교성지로서어렵게되었다. 금강산 유점사는 이북에 설악산 건봉사는 당시 민통선과인접하여 왕래가 자유롭지 못해 지금까지도 설악산 신흥사가교구본사 역할을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국민과강원도민의 정서를 화합하고 불교문화 창달과 국난 극복의계기를당시 강원도지사 박종성 님 등의 신심과 평창군수 및 관계자등이중심이 되어 월정사 8각9층 석탑을 중심으로 탑돌이 행사를기획하여 년례적인 민속축제에 출연하여 명예의 대통령상을 시상받게되는 것이다. 8각9층 석탑의 수려함과 장엄함 월정사 주변경관의 배경과심금을 울리는 어산 종장들의 범패소리와 6.25동난으로 폐사된월정사복원을 발원하는 승려와 신도 염불소리는 당시 전쟁의 처참한국민의 염원과 부처님께 기원하는 도내 기관장님과 군내 기관장님들의 염원이 하모니를 이루게 되었다. 월정사 주지스님 이하 전 대중스님과 교구신도님 등이 함께합장하고 탑을 도는 장관에 어산 범패의 운율과 함께 연출되었다. 한국 불교는 항상 호국불교로서 그 시대상에 맞게 수순 중생하면서 1.600여년의 역사와 전통을 지켜왔다. 이에 따라 불교문화와불교 행사와 의식은 지금까지 계승되는 것도 있지만 그렇지못하고 소멸 된 것도 있다고 생각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