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정사의 유래와 특징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월정사의 유래와 특징

  • 주제월정사의 유래와 특징
  • 시대위진남북조
  • 저자法起
목차
위로 가기 월정사의 유래와 특징
1. 오대산과 월정사
2. 중국문화와 명당明堂
3. 『삼국유사』와 명당
4. 월정사와 오대산의 명당

상세소개
위로 가기

대승불교의 가장 위대한 경전인 『화엄경華嚴經』에는 「보살주처품菩薩住處品」이라는 품이 있다. 이 품은 여러 보살들이 어느 곳에 머물러 살고 있는가를, 마치 지도에서 위치를 표기하 듯이 기록해 놓은 것이다. 즉, 요즘으로 치면 보살들의 위치를 나타내주는 내비게이션이라고 하겠다. 이 중 우리나라와 관련해서 가장 유명한 것은 법기法起(담무갈曇無竭)보살이 머문다는 금강 산이다. 기록에 따르면, 금강산은 인도의 동북쪽에 위치한 바다를 끼고 있는 산(혹 섬)이다. 이를 근거로 우리 조상들은 그곳이 우리나라에 있다고 생각했으며, 이로 인하여 현재의 금강 산이라는 명칭이 파생하게 된다. 금강산이 법기보살의 성지로 인식됨으로 인해서, 금강산에는 장안사·유점사·표훈사·신계사의 4대 사찰을 필두로 하는 무수한 절들이 들어선다. 이는 오늘날까지도 민요에 ‘강원도 금강산 1만 2천봉, 8만 9암자’라는 구절로 남아 있다. 이와 같은 측면은 불교성지와 우리 땅을 연결 해서, 우리나라가 곧 살기 좋은 불국토佛國土(부처님의 세계)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살주처품」에는 또한 인도의 동북방 청량산淸凉山에 문수보살이 상주한다는 구절 도 있다. 이 구절은 중국의 위진남북조(420 ~ 589)시대부터 중국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져, 현 재의 북경 동북쪽인 산서성의 오대산이 청량산으로 비정되기에 이른다. 이로 인하여 중국오대산(사진1-1, 1-2)은 청량산으로도 불리며, 문수보살을 중심으로 하는 화엄성지로 자리매김을 하게 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