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정사 탑돌이의 불교문화콘텐츠 개발 및 활용방안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월정사 탑돌이의 불교문화콘텐츠 개발 및 활용방안

  • 주제월정사 탑돌이의 불교문화콘텐츠 개발 및 활용방안
  • 시대현대시대
  • 저자이재수(동국대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전임연구원)
목차
위로 가기 월정사 탑돌이의 불교문화콘텐츠 개발 및 활용방안
이재수(동국대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전임연구원)
Ⅰ. 서 언
Ⅱ. 불교문화콘텐츠는 무엇인가
1. 불교문화원형과 불교문화콘텐츠
1) 한국불교문화
2) 불교문화원형
2. 불교문화콘텐츠의 위상과 역할
Ⅲ. 월정사 탑돌이의 문화콘텐츠 개발 방향
1. 월정사 탑돌이의 문화적 가치
2. 월정사 탑돌이 콘텐츠화 방향
Ⅳ. 월정사 탑돌이 콘텐츠 활용 전망
1. 문화관광 스토리텔링 활용
1) 월정사 관광 현황
2) 문화콘텐츠의 문화관광 연계 프로그램
3) 월정사 탑돌이의 관광스토리텔링 활용
2. U-Tour의 콘텐츠로 활용
3. 템플스테이 활용
4. 공연콘텐츠로 활용
Ⅴ. 향후 과제

상세소개
위로 가기

흔히 오대산 월정사하면 제일 먼저 떠올리는 것은 전나무 숲길, 국보인 팔각구층석탑, 석조보살상 등이다. 이러한 매력적인 문화유산은 모두 유형의 문화유산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모두 월정사라는 장소에 한정되어 우리가 찾아가야만 만날 수 있다. 그런데, 월정사가 지닌 다양한 문화유산의 이미지 모두를 아우르고 녹여낼 수 있는 것이 있을까? 있다면 무엇일까? 어떻게 하면 월정사가 지닌 소중한 문화유산 전체가 우리에게 다가설 수 있게 할 수 있을 까? 이러한 문제에 대해 조심스럽게 답을 해본다. 그것은 월정사가 지닌 또 하나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무형의 월정사 탑돌이라고 할 수 있 을 것이다. 본 논의는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월정사 탑돌이를 불교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이 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논의는 지극히 일 반적인 것이어서 탑돌이에 대한 현상적인 이해와 管見으로 자칫 본질을 놓일 수 있다는 우 려도 있겠지만 어디까지나 본 논의는 향후 탑돌이에 대한 다양한 가치를 발견해내는 단초를 제공해 보자는 데 있다. 아울러 복합적인 활용을 염두에 두고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적극 활용하며, 나아가 오대산 월정사의 브랜드로 이끌어낼 수 있는 전망을 세우는 데 이바지하고 자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