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허선사의 유교 경전에 대한 불교적 해석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탄허선사의 유교 경전에 대한 불교적 해석

  • 주제논어를 중심으로
  • 시대근현대
  • 저자권기완 (문광)
목차
위로 가기 탄허선사의 유교 경전에 대한 불교적 해석
‒ 논어를 중심으로 ‒
권기완 (문광)
조계종 교육아사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과 박사수료
Ⅰ. 머리말
Ⅱ. 공자의 계승과 호학(好學)
Ⅲ. 대기설법(對機說法)과 유교의 돈법(頓法)
Ⅳ. 극기(克己)와 무아(無我)의 관계
Ⅴ. 성(性)자리와 생사(生死)의 문제
Ⅵ. 맺음말

상세소개
위로 가기

탄허택성(呑虛宅成, 1913-1983)은 근현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대강백이 자 대선사로 불교와 함께 유교와 도교에도 정통했던 대석학이었다. 그는 전통 학술을 수학한 선비로서 유가칠서(儒家七書)를 통달한 뒤 출가하여 동양학 전반에 대한 방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유불회통(儒佛會通)과 유석 통철(儒釋洞徹)을 주창했던 회통론의 대가였다. 그는 “나의 도를 닦는 정신은 유교에서 가져와서 절에서 더 커진 것” 이라고 했으며, “나는 역사발전을 유불선(儒佛仙)의 동양사상을 중심으로 파악”한다고 했다. 출가 전에 도 닦는 마음으로 진지하게 유학수련을 했 으며, 불교를 섭렵한 뒤에도 여전히 유학을 사상의 중심이자 사유의 근본 으로 삼고 실천했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