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탑돌이의 역사와 현황
주제 : 2013년 월정사탑돌이보존회 학술 보고회
시대 : 현대시대
저자 : 한 상 길 (동국대 불교학술원)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탑의 나라라고 불렀다. 불교의 수용과 함께 시작된 탑의 조성은 산과
들, 계곡 곳곳에 불국토의 장엄을 이룩하였다. 삼국유사에서 일연은 “절과 절이 별처럼 들어서고, 탑과 탑은 기러기가 줄지어 나는듯하다.”고 하였다. 고려시대에는 풍수지리사상과
비보설(裨補說)에 따라 절은 물론이고 산꼭대기, 동네 어귀 할 것 없이 많은 탑이 들어섰다. 탑은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묘탑(墓塔)에서 출발하였으므로 그 자체가 부처님이었고, 불교였다. 불상의 조성과 함께 신앙의 중심이 옮겨갔으나 탑은 여전히 귀의대상이었고, 가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