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월정사탑돌이에 대한 文化哲學的 배경 검토
- 주제2013년 월정사탑돌이보존회 학술 보고회
- 시대현대시대
- 저자자 현 스님 (동국대교수, 월정사교무국장)
목차
위로 가기 월정사탑돌이에 대한 文化哲學적 배경 검토자 현 스님 (동국대교수, 월정사교무국장)
Ⅰ. 序論
Ⅱ. 불교탑돌이의 기원과 전개
1. 인도탑의 기원과 불교탑
2. 불교탑의 기원으로서의 爪髮塔
3. 인도불교의 탑돌이
4. 동아시아의 탑과 탑돌이
Ⅲ. 海東華嚴과 월정사의 탑돌이
1. 해동화엄과 월정사
2. 월정사탑돌이와 <法界圖>
Ⅳ. 結論
상세소개
위로 가기한국탑돌이는 인도전통의 존숭문화에서 기원하여 불교에 유입되고, 다시금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까지 전래된 우리의 전통적인 불교의례이자 민속문화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탑돌이에 대한 타당한 이해 역시, 인도적인 기원과 중국적인 전래 및 변화 등에 대한 고찰이 선 행되어져야 한다. 본고는 이와 같은 탑돌이의 전개와 발전양상을 토대로,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불교탑돌이 중 유래가 깊고 꾸준히 전승되고 있는 월정사탑돌이에 대해서 검토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제Ⅱ장에서는 불교탑돌이의 기원과 전개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탑돌이 의 성립배경은 인도의 화장과 建塔문화이다. 그러므로 먼저 인도의 탑문화에 대해서 정리 고찰하고, 이와 같은 인도의 전통문화가 불교에 수용되면서 어떻게 불교적인 관점으로 변용 되었는지에 대해서 조명해 본다. 불교탑의 중심은 당연히 붓다와 관련된 佛塔이다. 일반적으로 불탑은 붓다의 화장 및 靈 骨舍利와 관련된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율장 등의 초기자료를 근거로, 불탑 의 기원이 ‘爪髮塔’에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는 불교탑돌이의 기원 역시 붓다 재세시로까지 소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불탑의 기원에 대한 명확성 문제는, 곧 불교탑돌이의 기원 문제를 확정짓는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의의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접근을 바탕으로 불교탑돌이의 기원과 방식에 대한 문제를 확정짓고, 그 다음으로 중국의 불교전래와 관련된 탑의 변형 및 탑돌이문화의 변화·발전에 대해서 살펴보 게 된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동아시아 탑의 특징과, 辟邪의미가 더해지는 연등탑돌이에 대 한 이해를 도출해 볼 수가 있다. 다음으로 제Ⅲ장을 통해서는 제Ⅱ장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월정사탑돌이와 관련된 화엄사 상적인 관점에 대해서 검토해 본다. 현행 월정사탑돌이는 海東華嚴과 관련된 ‘<法界圖>연등 탑돌이’이다. 이는 탑돌이에 의상화엄의 <법계도>라는 문화철학적인 측면이 가미된 것이다. 본 항에서는 <법계도>의 철학적 의미와, 이와 같은 방식이 탑돌이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가에 대한 장점을 짚어보고자 하였다. 또 오대산과 월정사는 자장에 의해서 개창되는데, 자장에게는 화엄사상과 관련된 측면이 존재한다. 즉 의상보다 빠른 화엄의 전래 및 전개양상이 자장에게서 발견되는 것이다. 그러 므로 월정사의 탑돌이에서, 의상화엄과 관련된 <법계도>연등탑돌이 이외에도 자장과 연관 된 부분에 대한 관점을 환기시켜 보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접근을 통해서, 우리는 현행 월정사탑돌이의 문화철학적인 기원과 전개 및 사 상적인 측면에 대해서 검토해 보게 된다. 한국탑돌이는 불교를 넘어, 우리의 찬란한 전통문 화의 범주에서 반드시 계승·발전되어야할 자랑스러운 무형유산이다. 그러므로 현재에도 매 달 실행되고 있는 월정사탑돌이를 중심으로, 탑돌이의 시원정립과 의미파악을 해보는 것은 충분한 연구의의를 확보한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