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結社의 정의에 대한 재검토
- 주제結社의 정의에 대한 재검토
- 시대현대시대
- 저자김호성 / 동국대 교수
목차
위로 가기 結社의 정의에 대한 재검토김호성 / 동국대 교수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Ⅱ. 재검토의 필요성과 수정해야 할 부분1. 결사와 개혁의 문제
(1) 결사는 참여 속의 개혁이 아니다.
(2) 결사는 脫권력의 참여이다
2. 결사와 공동체의 문제
Ⅲ. 결사 개념의 재정의와 결사의 해체
1. 결사 개념의 재정의
2. 결사의 해체와 결사정신의 散布
Ⅳ. 결론
상세소개
위로 가기일반적으로 결사라는 말은 헌법에서 국민의 기본권으로제시되는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 속에 등장한다. 모임, 조직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불교사의 결사는 다만 그러한일반적 정의만으로는 충족될 수 없는 含意를 지닌다. 그리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는 불교사의 맥락(context) 속에서찾아져야 한다. 구체적으로 중국에서는 廬山慧遠(334~416)의백련결사, 우리의 경우에는 普照知訥(1158~1210)의 정혜결사, 圓妙了世(1153~1245)의 백련결사가 그 대표적인 결사들이다. 이외에도 많은 결사가 있었으나, 나는 이러한 대표적 결사운동에나타난 성격들을 추출함으로써 ‘결사’라는 술어의 사전적정의를시도해 보았다. ‘類槪念으로서의 결사’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가능한다양한결사운동을 살펴보면서, 결사의 정의 속에 포괄될 수 있는어떤공통된 요소를 추출해 내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생각되었다. “귀납적으로 정의”를 도출함으로써 개별적 결사를아우르는 ‘類개념으로서의 결사’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자 한것이다. 사실, 종래의 불교사전류들3)에는 구체적인 결사운동에대한서술은 있어도, ‘결사’라는 아이템은 없었던 것 같다. 그래서“결사란 무엇인가” 라고 하는 물음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가필요하다고 느꼈다. 이를 통하여 앞으로의 개별적인 결사운동에하나의 規範的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나는金光植이 인용한 바 있는, 다음과 같은 정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결사를 하나의 운동(=결사운동)으로 생각할 때 그 안에는㉠수행운동, ㉡개혁운동, ㉢이념운동, ㉣공동체운동이라고하는네 가지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던 것이다. 이후이러한 나의 정의를 金光植은 그가 발로 쓴 논문 「봉암사결사의 전개와 성격」에서, 다음과 같이 인용하고 있다. 그런데 나는 金光植이 인용한 「결사의 근대적 전개양상」에서 행한 결사의 일반적 정의를 재검토․수정할 필요를점차느끼게 되었다. 과연, 종래의 정의에서 어떤 점이 문제가있었기에 재검토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던 것일까? 또 그렇게수정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 이러한 의문에본격적으로 답하기 전에 나 자신의 연구방법론에 대해서밝혀두고자 한다. 왜냐하면 나는 결사운동이라는 역사적 사건을대상으로 해서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철학적으로사유’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