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한국 오대산신앙 관련 자료의 재검토
- 주제한국 오대산신앙 관련 자료의 재검토
- 시대현대시대
- 저자박 광 연(동국대 HK연구교수)
목차
위로 가기 한국 오대산신앙 관련 자료의 재검토- 삼국유사 기록의 비판적 해석 -
박 광 연(동국대 HK연구교수)
머리말
Ⅰ. 삼국유사와 오대산사적의 비교
Ⅱ. 금석문 및 문집 속의 오대산
Ⅲ. 돈황 <오대산도> 속의 신라왕자
맺음말
상세소개
위로 가기오대산신앙은 대방광불화엄경 60권본(이하 ‘60화엄’이라 함)에 의거하여 중국의 동북방에 있는 五臺山이 바로 菩薩住處品 에 나오는 淸凉山이고, 이곳에 文殊菩薩이 머물고 있다는 믿음을 말한다. 이 오대산신앙에대한 관심이 식지 않고 있다. 21세기 들어서 시카고대학의 Lin Wei-chen g, 대만대학의 林韻柔, 콜롬비아대학의 Andrews Susan 등의 박사논문이 제출되었고, 2014년에는 IABS(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제17회 회의 때 ‘오대산’을 주제로 한 패널도 운영되었다. 많은 연구자들이 오대산에 주목하는 이유는 오대산신앙이 지니는 시간성과 공간성 때문일 것이다. 오대산신앙은 어떤 특정 시기에 형성되어 불변한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수행도량, 황실의 후원, 화엄과 밀교 등 다양한 성격이 가미되어 나갔다. 그리고 중국에서 시작되었지만, 한국, 일본, 서하, 몽골 등 주변 나라로 전파되었고 각 나라의 특성에 맞게 변용되었다. 오대산신앙은 아시아 불교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기에 매력적인 주제임에 틀림없다. 오대산신앙에 대한 최근의 활발한 연구는 한국의 오대산신앙에 대한새로운 접근을 요구한다. 지금까지 오대산신앙에 대한 연구는 삼국유사 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오대산신앙을 신라에 전한 이가 慈藏이고, 이후 寶川과 孝明 두 태자가 오대산에 머물며 수행하였고, 보천에 의해 동․서․남․북․중앙의 결사와 예참 의례가 정해졌다고 한다. 그동안 오대산신앙의 형성 시기와 구조를 둘러싸고 많은 논의가 있었는데, 쟁점은 삼국유사 기록을 어디까지 신빙할 것인가였다. 자장에 대해서는, 자장의 오대산 방문과 문수 친견을 모두 인정하기도 하고,모두 부정하기도 하고, 오대산에는 안 갔지만 화엄사상 또는문수신앙과 관련 있는 것은 맞다고 보기도 하였다. 보천과 효명 태자의이야기는 성덕왕 즉위와 관련 있다고 보기도 하고, 신라하대 헌덕왕과흥덕왕의 왕위계승의 문제를 담고 있다고 보기도 하였다. 고려 태조대성립설도 있다. 중국 오대산신앙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도 줄곧 있었다. 한국에서는 박노준의 연구가 기본 시각을 제공하였는데, 논문들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문수신앙의 대중화가 東晋 이래 오대산 문수신앙 성립의 기반이 되었고, 화엄경이 처음 한역된 동진 이후부터 청량산에 머무는 문수보살에 대한 신앙이 생겨났고, 북위 효문제시대부터 청량산이 산서성 오대산에 적합하다는 인식이 정착되었고, 唐代 들어 不空과 澄觀의 활약으로 오대산 문수신앙이 흥륭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후 신라 오대산신앙의 구조를 금강계만다라 및 징관의 교의와 비교하는 연구도 진행되었고, 삼국유사에 묘사된 오대산신앙의 모습을신라 하대 이후의 것으로 보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그렇지만 여전히 오대산과 관련된 자장의 행적, 보천과 효명의 실존 여부 등 오대산신앙의형성 시기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 같다. 본고는 이상의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새로운 관점에서한국 오대산신앙에 관한 논제들에 접근해보고자 한다. 새로운 관점이란 삼국유사를 벗어나 삼국유사를 보자는 것이다. 선행 연구 가운데 어느 견해가 맞고 틀린가를 선택하기에 앞서, 오대산신앙에 관한 국내외의사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五臺山事蹟, 朝鮮佛敎通史 에도 삼국유사와 유사한 오대산 내용이 실려 있는데, 이 사료들을 언급한 논문들은 있지만 비교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 같아 시도해보고자한다. 또 신라 當代의 금석문 및 최치원의 글, 고려시대의 문집을 통해오대산신앙이 사회에 알려지고 영향을 미친 시기와 배경을 추적해보겠다. 그리고 돈황의 <五臺山圖>에 등장하는 신라인의 흔적과 그 해석에 대해, 외국학계의 오대산신앙에 대한 최근 연구를 참조하여 검토해보고자한다. 이상의 논의들을 통해 한국 오대산신앙의 형성에 대한 연구에 淺見을 보태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