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탄허의 경전번역의 의의와 강원교육에 끼친 영향
- 주제미래를 향한 100년, 탄허
- 시대20세기
- 저자윤창화
목차
위로 가기 탄허의 경전번역의 의의와강원교육에 끼친 영향
윤창화
1. 머리말
2. 탄허의 역경동기와 배경, 목적
3. 역경의 관점과 문체
4. 역경경전의 저본과 그 특징
5. 역경 경전의 종류와 텍스트
6. 탄허의 역경이 강원교육에 끼친 영향
7. 맺는말 - 탄허 역경의 역사적 의의
상세소개
위로 가기탄허 스님은 20세기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고승이다. 선원禪院인 오대산 상원사 출신으로 『육조단경』과 『보조법어』, 『신화엄경합론新華嚴經合論』, 『능 엄경』, 『대승기신론』, 『금강경오가해』, 『원각경』, 『사집四集』 등 전통강원의 텍스트를 완역, 간행하는 등 근현대 한국불교 역경사譯經史 및 교육사에 우뚝한 족적을 남겼다. 본고에서는 탄허 스님이 이와 같이 많은 경전을 번역하게 된 동기와 목적, 배경, 관점, 문체, 저본의 특징, 그리고 그의 역경이 강원 교육에 끼친 영향과 의의意義등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불전의 우리말 번역은 조선 초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능엄경언해』 1462, 『묘법연화경언해』1463 등 언해본들이 그 효시이다. 이후 근대 개화기에 이 르러서는 백용성1864~1940, 안진호1880~1965, 김태흡, 허영호 등 주로 주로 개인적 차원에서 이루어졌는데, 그 가운데서도 백용성이 두드러진다.• 373 광복 이후 불전역경은 주로 이운허李耘虛, 1892~1980를 중심으로 한 종 단적·국가적 차원의 역경과 탄허를 필두로 한 개인적 차원의 역경, 이두 방향에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운허가 동국역경원을 기반으로 하여 『한글대장경』 완성에 심혈을 기울였다면, 탄허는 『신화엄경합론』 등 주로 전통강원의 교재를 완역, 간행하는 데 집중하였다. 운허가 대중적 지향의 의역意譯을 추구했다면 탄허는 강원의 학인들이나 전문 학자 지향 의 직역을 추구했다고 할 수 있다. 이 두 고승의 활동은 근현대 한국불교 교육과 역경사에 쌍벽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