石顚의 戒律觀과 戒學約詮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石顚의 戒律觀과 戒學約詮

  • 주제石顚의 戒律觀과 戒學約詮
  • 시대현대시대
  • 저자法常(정광균)
목차
위로 가기 石顚의 戒律觀과 戒學約詮
法常(정광균)
Ⅰ. 들어가는 말
Ⅱ. 石顚映湖의 戒律觀
1. 石顚의 戒律觀 배경
2. 石顚의 戒律的 계보
3. 石顚의 戒律觀 특징
Ⅲ. 戒學約詮의 意義
1. 戒學約詮의 내용
2. 戒學約詮의 특성
3. 戒學約詮의 意義
Ⅳ. 나아가는

상세소개
위로 가기

인간은 어느 시대나 어젠다(agenda)와 트렌드(trend)에 주목하면서 살아간다. 이 땅에 불교가 전해져 고대한국민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역 사적 팩트다. 이는 불교의 전래와 수용의 과정을 거쳐 고대한국민의 정서함양에 기 여한 공과는 여러 가지로 파악할 수 있다. 그 중에 과실은 차치하고 공과만을 말하 더라도 매우 방대하다. 여기에 고대 우리 민족의 생활윤리를 고려할 때에 그 바탕 에는 불교의 계율을 근간으로 하였다는 것은 주지하는 바이다. 왜냐하면 계율은 재 가와 출가자의 의식주에 관한 규정과 승가와 재가의 공동체를 유지하는 기능과 역 할을 담당하였기 때문이다. 우리는 현대 한국의 정서적 함양을 위해서 근현대의 과도기를 兼全思想과 持律嚴 正, 그리고 교학과 선을 두루 섭렵하여 교육자로 살아가면서 크나큰 족적을 남긴분들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러한 선각자들 중에 한 분을 설정하여 고찰해 보려는 시도는 현대불교사에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금번 한국불교학회에서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월정사와 제24교구 본사 선운사가 공동으로 협조하여 2014 춘계 학술대회의 대주제로 “석전과 한암, 한국 불교의 기대 정신을 말하다.”를 선정하여 학술대회를 개최함에 요청을 받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근현대 한국의 선각자로 인정되는 石顚映湖의 여러 사상들 중에서 계 율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石顚의 戒律觀과 戒學約詮」의 意義를 고찰하여 그가 현 한국불교에 기대할 정신적 내용이 무엇인가를 검토해 보려고 한다. 石顚의 戒律觀과 戒學約詮의 意義를 살펴봄에, 먼저 石顚映湖의 戒律觀에서 역 사적 배경과 석전의 戒律的 계보, 그리고 그 특징을 검토하고자 한다. 다음에 戒學 約詮의 의의에 대한 내용을 검토함에, 석전이 戒學約詮에 제시한 계율의 내용과 특성을 살펴서 현대 한국불교에 보여주려는 의의가 무엇인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고찰함에 참고자료는 효탄스님이 정리하고 번역한 戒學約詮과 더불어 몇 편 의 논문과 고창군 전북역사문화학회에서 발간한 석전의 각종 자료집과 대한불교 조 계종 제24교구본사 선운사에서 발간한 행장과 자료집을 참고하면서 필요한 경우에 각종 계율과 관련한 경전과 논서들을 참고하여 간략히 기술하고자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