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한국불교와 석전영호의 위상
- 주제한국불교와 석전영호의 위상
- 시대2014년
- 저자정도(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교육부장)
목차
위로 가기 한국불교와 석전영호의 위상정도(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교육부장)
Ⅰ. 서론
Ⅱ. 석전영호의 한국선문금침(韓國禪門金針)
1. 막행막식(幕行莫食)의 선풍(禪風)을 비판함
2.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 구절의 폐해
3. 조사선은 여래선보다 우월한 것인가?
4. 왜 오후(悟後) 수행(修行)을 하지 않는가?
5. 선교겸수(禪敎兼修)의 주창(主唱)
1) 불립문자(不立文字)는 조사(祖師)가 말하지 않았다
2) 하택(河澤)은 지해종사(知解宗師)가 아니다.
Ⅲ. 결론
상세소개
위로 가기이번 (사)한국불교학회 2014 춘계학술대회의 대 주제는 ‘석전 선사와 한암, 한국불교의 시대정신을 말하다’이고 ‘일제강점기 한국불교의 정신과 현대의 조계종’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필자가 제출한 소주제는 ‘한국불교와 석전 영호(石顚映湖, 1870-1948)의 위상’이다. 석전영호 대종사(大宗師)는 근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석학(碩學)이다. 석전 선사를 評 하여 지칭(指稱)하는 이름은 여러 가지다. 삼학(三學)을 두루 갖춘 근대 한국불교의 3대 강백(講伯), 근대 한국 최고의 석학, 독립운동가, 불교혁신운동가, 근대불교개혁운동가, 시인, 다승(茶僧), 해방 후 ‘조선불교 초대 교정’ 등 그의 면모(面貌)는 전인적(全人的)이며 큰 산과 같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 그만큼 대중에게 알려져 있지 않다. 이는 후학(後學)들 의 부덕(不德)과 나태(懶怠)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단지 유무명(有無名)의 문제만 은 아니다. 선사의 명성의 단절과 더불어 긴 시간 한국불교 발전과 개혁의 열정이 단절되 어 상실되었던 것 같아 더욱 안타깝다.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승가대학의 절대 다수의 강사(講師)가 석전 선사의 강맥(講脈) 을 잇고 있지만 선사의 면모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 모르겠다. 선사를 연구하면 단번에 제자로서 자긍심을 갖게 되고 흠모(欽慕)하고 귀감(龜鑑)으로 삼을 것이다. 그런데 선사의 견해가 현대 조계종의 종지종풍(宗旨宗風)과 괴리(乖離)가 있어 그동안 환영받지 못한 것은 아닌가 싶은데 오히려 그것이 오늘날 조계종의 현실을 되비쳐 보는데 유익할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삼학(三學)을 겸비(兼備)한 선사로서 각각 여러 글을 남 겼지만 논자는 선(禪)에 관한 글에 주목하여 한정하려고 한다. 역설적으로 그것이 석전 영 호의 과거와 현재의 위상을 설명하여 주는 것 같고 이 세미나의 주제와 내용에 발맞추어 현재 대한불교조계종에 메시지를 전할 수 있겠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