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밀교적 원형으로서의 오대산 만다라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화엄밀교적 원형으로서의 오대산 만다라

  • 주제화엄밀교적 원형으로서의 오대산 만다라
  • 시대현대시대
  • 저자金永材
목차
위로 가기 화엄밀교적 원형으로서의 오대산 만다라
金永材
1. 서언
II. 가람만다라
1. 대산문수신앙
2. 관음지장신앙
Ⅲ. 산천만다라
1. 소재기복도량
2. 호국불국토도량
IV. 화엄만다라
1. 일승법계
2. 오방오불
V. 결어

상세소개
위로 가기

오대산 신앙 및 사상체계는 일대만다라이다. 5방, 5색, 5불을 바탕으 로 화엄, 인왕, 반야, 법화, 열반 등의 경전사상과 예참법 및 결사, 그리 고 문수, 관음, 지장 등의 화엄 밀교적 사상이 어우러져 금강계 만다라 와 호환될 수 있는 기본 틀을 구성하고 있다. 이를테면 한국불교의 핵 심 사상과 신앙체계가 원융무애하게 오대산에 자리잡고 일천 삼백년을 내려온 것이었다. 그 중에서도 화엄밀교라 할 때는 이 나라 불교의 대가 되어 있는 에서의 큰 흐름인 화엄을 바탕으로 하되 호국불교 와 밀교의례 및 전통신앙까지 포용할 수 있는 청정만다라, 가람만다라 및 산천만다라의 큰 틀이 이미 신라시대에 형성되어 있었다는 점이 강 조된 표현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 오대산 신앙이 자리잡고 있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