比丘尼 교육에 있어서 受具 과정의 변천과 정립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比丘尼 교육에 있어서 受具 과정의 변천과 정립

  • 주제불교 사상과 교육 ; 한암(漢巖) 탄허(呑虛)의 불교관
  • 시대현대시대
  • 저자신 성 현 (동국대 불교학과)
목차
위로 가기 比丘尼 교육에 있어서 受具 과정의 변천과 정립
신 성 현
동국대 불교학과
Ⅰ. 들어가는 말
Ⅱ. 비구니 수구의 종류
1. 師法受具
2. 白四羯磨受具
3. 遣使受具
4. 善來受具
5. 上受具
Ⅲ. 백사갈마수구의 과정
Ⅳ. 구족계의 규정
Ⅴ. 나오는 말

상세소개
위로 가기

세상 사람은 누구나 부모 형제 친족과의 인연을 맺으며 그가 속한 사회의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며 살아간다. 물론 그 보편적 가치란 그가 속한 사회와 그의 개인적 경험 등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부․명예․쾌락 등으로 구체화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간의 보편적 가치를 버리고 전혀 다른 가치를 추구할 수도 있다. 바로 출가라고 불리는 종교적 행위가 그것이다. 부모, 형제, 친족과의 인연을 끊고, 가지고 있던 재산 등 모든 것 을 버리고, 수행생활에 뛰어드는 것이다. 이 출가하고 하는 행위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전혀 다른 두 개념의 세계가 존재해야만 한 다. 우리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소위 속세라고 불리는 세간 세계와 그 속세로부터 떠나온 사람들을 받아들이는 출세간의 세계가 그것이다. 이 세간으로부터 출세간의 세계로 넘어서는 것을 출가라고 한다. 세속생활을 영위하던 재가자가 세속생활을 버리고 출가자가 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사미십계 사미니십계를 받고 사미(sāma 혹은 사미니가 되는 것으로 이것을 출가(pabbajā)라고 하며 다른 하나는 구족계를 받고 비구나 비구니가 되는 것으로 이것을 受具(Upasampadā)라 한다. 불교 상가공동체의 정식 구성원은 바로 수구 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붓다와 붓다의 가르침인 교법을 담아내는 상가의 새로 운 구성원를 생산해 나가는 것이다. 올바른 과정을 거친 수구식의 집행이야말로 불교 상가 의 존속을 위한 불수불가결한 행위라고 할 수 있기에 수구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고 할 수 있다. 이 수구식은 불교 교단의 발달과 함께 여러 형태로 변화면서 정립되었다. 율장에서는 비구수구는 물론 비구니 수구에 대한 다양한 형태가 설명되고 있다. 특히 비구 니 수구의 설명을 통하여 비구니 상가의 특색을 엿 볼 수 있다. 본론에서는 비구니 수구의 종류 및 변천을 중심으로 비구니 수구가 어떻게 정립되어 가는지에 대하여 밝혀보고자 한 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