寒巖禪師의 參禪曲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寒巖禪師의 參禪曲

  • 주제한암사상 제2집
  • 시대20세기
  • 저자金 鍾 眞
목차
위로 가기 寒巖禪師의 參禪曲
金 鍾 眞
Ⅰ. 머리말
Ⅱ. 서지적 고찰
1. 寒巖禪師法語의 형성과정 재구
2. 寒巖禪師法語의 편찬의식과 사회
역사적 맥락
3. 참선곡 의 작자․발기인․필사자
그리고 텍스트
Ⅲ. 상호텍스트성과 관습시적 성격1. 회심곡 자책가 백발가 와의 상호텍스트성
2. 수심결 및 경허가사와 한암법문과의 상호텍스트성
3. 불교가사의 구성 원리와 상호텍스트성
Ⅳ. 맺는 말-문화사적 의의

상세소개
위로 가기

우리 문학에서 ‘參禪曲’이라는 제명으로 소개된 근대의 가사에는鏡虛(1849~1912), 鶴鳴(1867~1929), 滿空(1871~1946), 寒巖(1876~1951)의 네 작품이 있다. 본고는 이 가운데 한암의 참선곡 을 대상으로 하여 그 문학적 성격과 문화사적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한암은 20세기 전반에 조선불교 선종의 종정과 조계종 초대 宗正을 지낸 근대의 대표적인 선승이다. 그는 1897년(21세)에 금강산신계사 강회에서 보조국사 지눌의 수심결을 읽다가 깨달음을 얻었고, 1899년(23세)에 성주 청암사 수도암에서 경허선사의 설법 중 금강경의 한 구절을 듣고 또 한 번의 깨달음을 얻어 경허로부터開心을 넘었다고 인가받았다. 1910년(34세)에 평북 맹산의 우두암에서 세번째의 깨달음을 얻었고 1921년(45세)에 금강산 장안사에주석하다가 건봉사 주지 대련, 금암, 운파 등의 초청에 응해서 건봉사에서 結社하였다. 이때 행한 법어 게송 가사 등 어록은 寒巖禪師法語에 실려 전한다. 1926년(50세)에 오대산에 입산한 후 입적할 때까지 주석하면서 선풍을 드날렸다. 그는 근대불교의 중흥조로 일컬어지는 경허의 제자로서 1931년에는 경허집을 편집하였고, 이후 불교계 잡지에 선풍을 진작시키는 다양한 논설을 발표하였다. 1940년 64세에 조계종 초대 종정을 역임하여 해방 때까지역임하였고 1948년 72세에 조선불교 제2대 교정에 추대되었다. 1951 년 상원사에서 입적하였다. 20세기 초기 한국불교의 전환기에 사상적 대응의 한 양상으로선풍의 중흥을 들 수 있다. 이 시기 한국불교의 특징으로 일컬어지는선풍의 중흥조는 경허선사이며, 그 법맥을 이은 한암, 만공과 그문하는 현대 한국 선맥의 중추를 이루고 있다. 한국불교의 전환기인20세기 초의 불교계의 현실을 나름대로 고민하고 새로운 혁신의길을 제시하면서 가사를 활용하여 자신이 지향하는 세계를 표출했기때문에 각각의 작품들은 당대 불교계의 현실과 나름대로의 지향점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동안 경허의 참선곡 에 대해 개별적인 연구로는 최강현, 김주곤의 논문이 있고, 학명의 가사에 대한 연구로는 필자의 논문이 있으나, 한암의 참선곡 에 대한 개별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김호성은 조선시대 여러 선사에 의해 지어진 ‘참선곡’의 흐름을간명하게 제시하면서 한암의 참선곡 의 교리적 특성을 소개하였고, 국문학계에서는 김기종이 불교가사 작가를 개괄하면서 한암의참선곡 을 전기적 사실과 내용 위주로 소개한 바 있다.한암 참선곡 의 문학적 특징과 문화사적 의의에 대해 구체적인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는 한암 문집이 온전히 남아있지않고 유습들을 모아 펴낸 것도 비교적 최근의 일인 것도 한 이유가될 것이다. 아울러 참선곡 에는 발기인과 작자 이름이 작품의 앞뒤에 기록되어 있고, 회심곡류 가사나 경허의 가사와 동일한 구가총 178구 가운데 60구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작가성과독창성에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해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않으면 여전히 작가성 및 문학성이 불확실한 작품으로 자리매김될수밖에 없다. 불교의 전통을 지닌 여러 나라 중에서 한국은 참선의 기풍이 생생하게 살아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참선수행의 과정과 지향을 노래에 담은 참선곡은 한국문학에서나 동양의시가문학에서 매우 독특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참선곡류 가사에 대한 통합적 고찰은 한국의 불교문학, 나아가 동양의불교문학 전반을 복원하는 데 필요한 작업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서개별 작품에 대한 원전 비평에서부터 문학성에 대한 검토, 나아가문화사적 흐름 속에서 작품의 위상을 검토하는 실제적 고찰이 필요하리라 본다. 이에 따라 본고의 제2장에서는 참선곡 이 수록된 문헌을 서지적으로 검토하고 그 사회역사적 맥락을 살피며, 제3장에서는 참선곡에 수용된 작품들과의 상호텍스트성을 고찰하여 문학적 전통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살피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4장에서는 한암 참선곡 이 지니는 문화사적 위상을 정립하고자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