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漢巖禪師의 看話禪思想
- 주제한암사상 제3집
- 시대현대시대
- 저자인 경
상세소개
위로 가기필자가 요청받는 제목은 ‘한암선사의 간화선사상’이다. 필자는 보조사상을 연구하면서 보조어록을 모아서 편찬하신 선사의 뜻을이미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선사의 어록을 읽고 연구하지는 못했다. 이런 기회를 주심에 감사드린다. 漢巖一鉢錄을 펼쳐 보면서, 필자는 선사께서는 대대로 전승되어 온 불교의 본질, 깨달음을 참으로실증하신 분이라고 느꼈다. 그런데 필자는 참선 수행하여 어떤 결과를 실증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와 논리로서 선사의 간화선사상을 해명하는 연구논문을 써야하는 입장에 있다. 이들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서로다른 접근법을 요청한다. 우선 필자는 기존의 연구논문을 조사해 보고 어떤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구할지를 살펴보아야 했다. 기존의 논문들은 주로 ‘한암사상연구원’을 중심으로 발표된 논문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선사상과 관련된 논문은 「한암선사의 선사상」, 「남종선의지평에서 본 방한암선사의 선사상」, 「한암의 일발선」등이 있다. 그 밖에 염불참선과 관련된 부분, 조계종단과 관계, 자서전적 구도기, 참선곡과 서간문 등이 연구되어 발표되었다. 이들 논문은 부분별로 간화선을 언급하고 있지만, 전반적인 선사상의 특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한암선사의 간화선 부분을 본격적으로 다루지는 않고 있다. 그래서 간화선 부분은 좀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느낀다. 그런데 필자는 원고 문제와 관련하여운영자 한 분에 속하는 민족사 사장이신 윤창화 님과 통화하는 과정에서 <선문답 21조>는 한암선사의 어록에서 매우 주요한 부분을차지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다루어 주었으면 하는 부탁을 받고, 그렇게 하기로 결정을 했다. 아마도 <선문답 21조>는 한암선사의 간화선사상을 가장 잘 표현한 자료로서, 반드시 상세한 논의가 필요한영역이 아닌가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