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조계종단 宗正의 歷史像
- 주제조계종단 宗正의 歷史像
- 시대현대시대
- 저자김광식
목차
위로 가기 조계종단 宗正의 歷史像김광식
Ⅰ. 서언
Ⅱ. 시기별 종정제도의 변천
1. 寺社管理署, 國內寺刹現行細則(1902)에서의 敎正
2. 圓宗(1908)의 宗正, 臨濟宗(1910)의 館長
3. 조선불교 禪敎兩宗(1929)에서의 敎正
4. 朝鮮佛敎 禪宗(1935)의 종정
5. 朝鮮佛敎 曹溪宗(1941)의 宗正
6. 대한불교(1946)의 교정
7. 불교 조계종(1954)의 종정
8. 통합종단(1962∼)의 종정
9. 개혁종단(1994)의 종정
Ⅲ. 종정의 역사에 나타난 성격 및 문제
Ⅳ. 결어
상세소개
위로 가기대한불교 曹溪宗은 현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종단이다. 이 같은 성격으로 인해 조계종은 한국불교 1,700여년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한 다고 지칭되어 왔다. 이런 위상은 대체적으로 한국 사회에서도 공인을 받고 있다. 때문에 조계종단의 宗正은 현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위상을 갖고 있다. 조계종단의 종정의 이런 성격은 조계종단의 종헌 에서 “宗正은 本宗의 神聖을 象徵하며 宗統을 承繼하는 最高의 권위와 地位를 가진다.”고 규정한 것에서 극명하게 나온다. 즉 조계종의 종정은 곧 조계종을 상징하고 있다. 달리 말하자면 조계종의 성격은 종정의 성격과 동질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조계종을 이해하 고자 할 경우에는 다양한 관점(이념, 사상 등)에서도 접근이 가능하 지만 '종정'이라는 관점에서도 유효하다. 이는 은연중 조계종 종정은 조계종 조직체를 대변, 상징한다는 측면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불교학, 역사학, 종교학 등 불교 관련 학문 분야에 서는 종정에 대한 학문적인 탐구, 분석, 해설은 거의 찾을 수 없다.
이에 대한 연유는 다양한 요인으로 설명할 수 없지만, 기본적으로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종정은 神聖하고, 宗統을 승계하는 최고의 권위와 지위를 갖는 대상으로 자리매김을 하였기에 학문적, 세속적 잣대로 말하기에는 껄끄러운 측면이 있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학문의 객관성, 엄밀성, 유용성을 고려할 때에 학문이라는 이름으로거론하지 못할 대상은 없다.
이 같은 전제와 배경하에서 본고찰에서는 근현대 한국불교 100여년간 종정이라는 이름하에 나타난 종정의 역사상을 개괄적, 역사적 맥락에서 소묘하고자 한다. 본 고찰에서 종정과 관련된 제도, 역사, 성격 등을 모두 다룰 수는 없겠지만 종정 연구의 디딤돌을 놓는다는 심정에서 종정에 대한 개괄적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분석, 설명의 방법은 우선 역사적인 순서에 의해 등장한 종정제도 및 운용을 분석 하고, 그 연후에는 종정의 역사상에 나타난 성격과 문제점을 살펴보 고자 한다. 미진한 점은 제방 선학들의 지적, 비판을 받아 보완하겠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