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월정사의 시원과 전개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오대산 월정사의 시원과 전개

  • 주제오대산 월정사의 시원과 전개
  • 시대동진東晉시대
  • 저자X
목차
위로 가기 오대산 월정사의 시원과 전개
Ⅰ. 오대산과 월정사
1. 중국오대산과 문수보살
2. 자장의 개창과 한국오대산
3. 월정사의 명칭과 의미
Ⅱ. 통일신라의 오대산
1. 보천과 효명의 화엄만다라
2. 차의 시작과 한강의 시원
Ⅲ. 고려시대의 월정사
1. 범일국사의 영향과 중건
2. 나옹혜근과 오대산
Ⅳ. 조선시대의 오대산
1. 세조와 상원사의 문수동자상
2. 사명당과 오대산 사고史庫
3. 조선후기의 오대산과 김홍도

상세소개
위로 가기

오대산의 문수신앙은 동진東晉시대 불타발타라佛馱跋陀羅(359∼429)가 번역한 60권 『화엄 경』의 「보살주처품菩薩住處品」에 등장하는 청량산淸凉山에서 연유한다. 여기에는 동북방 청량 산에 문수보살이 상주하면서 1만 권속에게 설법한다는 언급이 있다. 이를 중국불교에서는 인도의 동북방이라는 점에서 중국으로 판단, 산서성 오대산을 청량산으로 비정한다.

청량산이라는 명칭은 시원하다는 것으로, 이는 인도의 무더운 기운환경에서 나타나는 이상 향의 반영이다. 실제로 문수가 상징하는 지혜는 결단에 의한 청량의 의미를 내포한다. 때문에 색채로는 청색이 사용되고 상징으로는 청색 검과 청색 사자가 사용된다. 사자는 인도에서 지혜로운 동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어리석은 개와 대비되어 나타나곤 한다. 중국오대산은 인도의 청량이라는 의미를 넘어 춥다. 때문에 9월에 눈이 와서 4월에야 얼음이 녹는다. 이러한 청량에 대한 이해변화는 인도와 중국의 기후환경적인 차이에 따른 편차에 의한 것이다.

오대산이라는 명칭은 산의 봉우리가 평평하여 돈대와 같은 양상의 토산봉土山峰이 다섯이라는 의미이다. 오대산은 문수보살신앙의 터전으로 자리매김하면서, 당나라 밀교의 불공不空 (705∼774) 5) 과 화엄종의 제4조인 청량징관淸凉澄觀(738∼839)에 의해 확대·발전한다. 이로 인하여 문수를 중심으로 하는 화엄과 밀교의 성지로 정립되기에 이른다. 6)

중국오대산과 기운과 상응하는 산으로 문수신앙의 중심지가 되는 곳이, 바로 우리나라의 오대산과 일본의 오대산이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