石顚映湖 大宗師의 불교사상과 그 유신운동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石顚映湖 大宗師의 불교사상과 그 유신운동

  • 주제석전 영호대종사의 생애와 사상
  • 시대삼국시대
  • 저자노권용교수(원광대학교)
목차
위로 가기 石顚映湖 大宗師의 불교사상과 그 유신운동
노권용교수(원광대학교)
Ⅰ. 서론
Ⅱ. 시대배경과 생애 및 저술
1. 시대사회적 배경
2. 생애와 저술
Ⅲ. 朴漢永의 基本思想
1. 兼學思想과 持律嚴正
2. 華嚴的 世界觀
3. 兼全의 禪思想
Ⅳ. 박한영의 불교유신운동
1. 한국불교의 주체성 확립
2. 불교청년의 교육
3. 布敎의 現代化
Ⅳ. 결론

상세소개
위로 가기

한국불교의 역사를 시대적으로 구분하여 본다면 대체로 삼국시대의 수용보급기, 통일신라시대의 교학발전기, 고려시대의 선교양종흥융기, 조선시대의 쇠퇴기(또는 선일원화기), 그리고 근현대(개화기이후)의 개화확산기로 성격지어 정리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조선조의 억불정책에서 벗어난 이후의 최근세불교는 일제식민의 질곡 속에서나마 새로운 도약을 위한 개혁의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본다. 그러므로 권상노(1879~1965)는 이러한 시대사적 특성을 “갱생과도기”라 했으며, 석 전(1870~1948)은 한국불교의 장래에 대한 희망과 기대의 입장에서 “부활의 시대”라 예견하고 그 기초를 다지기 위해 생애를 바쳐 노력했다. 이처럼 최근세 한국불교를 성격지울 수 있는 “개혁불교”는 근대의 사회적 격동기에 직면하여 전개해나간 시대적 사명의 자각운동이라고도 볼 수 있다. 즉 그것은 천수백년동안 한민족의 국가이념과 민중의 지도 이념의 중심축을 이루어왔던 불교가, 숭유억불의 조선왕조시대를 거치 면서 잃어버렸던 사회적 지위와 민중교화의 기반을, 근대의 격변기를 맞아 새롭게 회복하기 위해 기울인 거교적 움직임이었다. 특히 일제 의 강압에 의한 을사조약체결을 전후하여 한국불교계는 현실을 직시하 는 눈을 뜨기 시작한다. 일제의 회유와 통제로 일부는 친일불교로 기울 기도 하였지만, 일단의 뜻있는 불교인들에 의하여 친일승려의 배척과 일본불교의 침투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게 된다. 거기에는 강한 시대인식과 함께 민중사회를 이끌어나갈 종교적 사명을 다하기 위한 다 양한 방책과 노력이 경주된다. 이와 같은 갱생과도기의 개혁불교시대에 석전 박한영선사 또한 백용성(1864~1940), 한용운(1879~1944) 등과 함께, 구한말의 격동과 일제식민의 굴레 속에서 민족의 지도자로서, 또는 불교의 선구자로서 한국불교 의 자각과 유신을 강력하게 주장하며 그 실천에 앞장서나간 근대 선각 자의 한분이다. 이하 Ⅱ장에서 석전이 불교유신운동을 전개하게 된 배 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당시의 사회상황과 불교계의 동향을 살펴보 고, 나아가 그의 생애와 저술활동을 정리해본다. 다음 Ⅲ장에서는 그의 불교개혁운동의 정신적 근간을 이룬 기본사상, 즉 겸학정신과 계율엄정, 화엄적 세계관과 그 실천관, 그리고 겸전적 선사상 등을 살펴본다. Ⅳ장 에서는 그러한 바탕위에 개혁불교운동으로서의 그의 유신운동, 즉 일제 에 대해서는 민족주체성확립과 친일불교반대운동으로, 보수적이고 퇴영 적인 기존불교에 대해서는 주체성확립과 교육혁신을 통해서, 그리고 민 중사회에 대해서는 잡지와 포교의 현대화 등을 통해 전개되는 그의 불교개혁운동의 이념과 실천 등에 관하여 살펴본다. 끝으로 Ⅴ장에서는 이러한 석전의 불교사상과 유신운동이 지니는 불교사상사적 의의와 과 제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본고는 이러한 일련의 작업이 석전 박한영선사의 연구에 일조가 되길 바라며, 무엇보다도 이를 통해 선사의 근본정신과 불교유신의 염원이 오늘의 한국불교에 되살려져, 이 사회와 역사를 이끌어나갈 수 있는 이 른바 “부활시대의 불교”로 거듭나기 위한 밑거름이 되길 삼보전에 심축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