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허스님의 생애와 교화활동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탄허스님의 생애와 교화활동

  • 주제탄허선사의 선교관
  • 시대20세기
  • 저자金 光 植
목차
위로 가기 탄허스님의 생애와 교화활동
金 光 植
1. 서 언
2. 출신과 입산, 구도의 길
3. 수행, 유불도의 회통
4. 한암정신의 계승, 불교정화
5. 오대산수도원의 개설, 정혜결사의 변용
6. 고난의 역경불사, 승려교육
7. 결 어 - 탄허정신의 재창조, 사상의 지
평을 바라보며

상세소개
위로 가기

김탄허는 20세기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승려이다.그는 칠십 평생을 치열 한 구도의 길을 걸어갔는데 그 중심에는 뜨거운 불법의 발현이 자리잡고 있 었다. 특히 그는 오대산의 상원사, 월정사에서 일제하 식민지 불교로 피폐된 불교의 근본정신을 되찾기 위한 고뇌의 길을 묵묵히 견뎌 냈다. 그런데 탄허 그가 입산, 출가한 그 당시 한국불교는 조선후기 이래 정치, 사 회적인 압박으로 인해 그 생명력을 잃어 가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일 제의 국권강탈과 그로 인해 나타난 식민지 불교의 현실은 다양한 방면에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었다. 승가 공동체 파괴, 계율 이완, 수행정신의 몰락, 명리의 탐착 등 그 모순은 간단한 것은 아니었다. 더욱이 이 같은 식민지 불 교 체제 하에서 불교 대중화의 기치를 내걸고 시도하였던 여러 움직임들도 일면 긍정적인 측면이 있었지만, 그 부정적인 부산물도 적지 않았다. 그는 요컨대 불교 근본정신의 몰락이었다. 한편 8․15 해방 이후 제기되었던 식민지 불교의 극복 노력은 강력하게, 그 리고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그 노선에 대하여 교단, 재야 불교혁신단 체 등이 다양한 의견을 내놓고 있었다. 그러나 불교 및 교단의 혁신에 대한 이견으로 인하여 급기야는 교단의 분열, 불교계의 내분, 보수와 혁신의 갈등 등 숱한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문제와 갈등이 제기되었음 에도 불구하고 그를 조정, 해소할 중심적인 승려나 단체가 부재하였다는 것이 더욱 큰 어려움이었다. 이러한 문제는 1954년부터 등장한 이른바 비구, 대처간의 갈등으로 전개된 정화운동에서도 나타나고 있었다. 식민지불교의 잔재 제거와 불교 근본을 회 복하기 위한 정화운동은 그 명분에서는 타당하였지만, 그 이행을 위한 수단과 방법이라는 면에서 숱한 모순을 야기하였다. 더욱이 그 추진이 10여 년을 경 과하면서 불교계, 종단 내부에서는 그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를 극복하려는 노 력조차 희미하였다. 그리고 일면에서는 제한된 비구승이 전국의 사찰을 접수, 관리함에 따라 나타난 승려의 부족 현상을 타개키 위해 나온 승려의 충당은 결과적으로 승려의 질 저하, 수행 풍토의 파탄을 가져 왔다. 이러한 문제는 곧 불교정신의 쇠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승가정신의 퇴보, 불교정신의 몰락, 승려의 자질 부족 등은 당시 한국불교의 총체적 난관이었음을 말해 준 다. 바로 이 같은 시대적 배경이 김탄허가 입산, 수행, 역경불사, 교육불사를 추 진하였을 당시의 불교계 현실이었다.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당시 불교계 현실 을 직시하고 그 전제 하에서 김탄허의 일생을 조망해야 된다. 김탄허의 일생 은 단순히 한 개인의 생애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다. 물론 그는 그가 생각하고, 의도한 대로 자기의 일생을 성실히 살았다. 그러나 그는 그가 맡았던 조계종단 내부의 다양한 소임, 그가 추진한 사업은 공적인 분야에서 전개되었다. 또 한 그는 당시 불교계의 여러 문제점 특히 불법의 쇠퇴, 승려 교육, 도덕성의 타락 등을 끊임없이 제기하였다. 그리고 그는 단순히 불교계 내부에만 시선을 고정시키지 않고, 민족과 국가 차원의 대안과 방향에 대해서도 그의 관심을 확대시키고 있었다. 본 고찰은 바로 이러한 배경과 전제 하에서 김탄허가 걸어 왔던 일생을 객 관적으로 정리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 과 작업 하에 ‘김탄허’라는 한 인물이 21세기 한국불교에 던져줄 수 있는 메시 지가 무엇인가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필자는 김탄허의 치열한 생애 를 통하여 20세기 한국불교의 고뇌 및 성격의 이해에 더욱 다가서고자 한다. 김탄허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정리, 분석, 연구는 추후 더욱 다양한 자료와 시각 하에서 시도될 것이다. 본 글은 김탄허의 연구가 척박한 여건, 그리고 충 분치 못한 자료를 갖고 서술하였기에 여러 측면에서 미진한 점이 있음을 인 정한다. 이 점은 선학 제현의 질정을 받아 보완할 것임을 밝히는 바이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