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허스님의 禪思想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탄허스님의 禪思想

  • 주제탄허선사의 선교관
  • 시대현대시대
  • 저자無 觀
목차
위로 가기 탄허스님의 禪思想
無 觀
1. 序 論
2. 出家前 修學
1) 道에 대한 觀心(한암선사와 편지 왕래)
2) 出家와 勇猛精進
3. 出家修行
1) 呑虛의 修行理念
2) 漢岩禪의 繼承
3) 敎化의 家風
4) 禪心道心
4. 結 論

상세소개
위로 가기

入滅한 지 벌써 20年이 지났다. 늦은 감은 있으나 이제 그의 一生에 思想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논 구 조망을 통하여 탄허(1913~1983)가 현대에 미친 영향을 돌이켜보고 새로운 시대에 대한 낙관적 견해와 투철한 수행의 길에서 禪적 입장을 가지고 後學 을 지도했음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탄허를 통하여 한암(1876~1951)의 선풍도 이해할 수 있으리라고 본 다. 조계종에서는 解放 이후 參禪은 佛敎의 最高 修行法이라 지금도 믿고 있 는 가운데 南方佛敎인 태국, 스리랑카, 미얀마 등의 비파사나(vipaśyana) 수행 법이 전하여 옴으로써 禪修行의 正統이라 믿어온 看話의 頓悟가 흔들리고 있기도 하다. 20세기 초에 살아온 善知識들에 對한 硏究가 미흡하고, 조계종 禪 수행에 있어서 일률적이다. 시피한 看話禪 參究와 悟道에 대한 定義도 아직은 체계적 整理가 되고 있지 않다. 이즈음 性徹(1912~1993)의 頓悟頓修와 普照(1158~ 1210)의 頓悟漸修에 對한 論爭은 지속되어 와서 禪의 宗旨를 선양하고 있다. 보조사상연구회 중심 송광사가 頓悟漸修(『보조사상』第一輯, 1987. 11. 15 刊)의 입장을 대표한다면 頓悟頓修의 看話禪 입장은 海印寺 중심으로 白蓮佛 敎硏究會(『백련불교논집』Ⅰ, 1992. 1. 20 刊)에서 1990년대 이후 활발하게 연구 되고 있다. 呑虛의 禪思想을 論究함은 시론에 불과하다. 또한 禪學에 對한 透徹한 識 見이 없는 筆者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課題이기도 하다. 解放以後 曹溪宗은 對妻事判1)과 首座理判의 淨化 과정에서 比丘首座계통 宗團의 三大事業에 徒弟養成, 譯經, 布敎의 目的을 가지고 있었으나 參禪만 이 佛敎의 全部라는 意義를 부여하여 왔다. 參禪 卽 看話禪의 主張은 조선후 기 걸출한 禪僧 鏡虛(惺牛, 1846~1913)에 의해 修行의 一般化가 되었다. 1953년 휴전협정으로 國土가 분단되어 南北韓의 대치상태에서 가장 北쪽 에 淸涼禪院은 五台山 月精寺에 위치하여 있어 남쪽의 諸方 禪院과 대칭을 이루었다. 舊韓末에는 金剛山 摩訶衍 맹산우두암 등의 많은 선원이 北方 禪院으로 分 類될 수 있겠으나 자세한 선원의 명칭과 숫자는 파악하기 어렵다. 1966년 해 인총림 설치 후 전국수좌회의 芳啣錄이 1954년 정화 이후 曹溪宗의 禪院과 首座의 現況을 살필 수 있다. 禪師 芳啣錄의 表紙 名稱은 伽倻叢林, 1899年(己亥)에 경허화상이 籌室로 서문을 쓰고 海印寺 堆雪堂에서 結社할 때 漢岩이 書記로 大衆名單을 記錄 하여 해인사에 전해온 방함록에서 경허의 서체를 그대로 사용했었다. 해방 이후에는 조실 曉峰(1808~1966)의 序文(1946, 佛紀二九七三 丙戌 伽倻 叢林)이 있는 방함록과 1966년 방장 性徹이 서문을 쓴 방함록 等 三冊이 傳하 여 온다. 五台山의 淸涼禪院은 寒岩2)이 구한말부터 주석하면서 修禪納子(首座)들의 전국 修行道場 가운데 重要한 위치에 서게 되었다. 당시에 鏡虛, 滿空(1872~1946), 慧月(1861~1937) 等이 忠淸以南의 南方에 서 敎化한 반면에 漢江以北에 望月寺 春城과 함께 北方을 代表한 禪師로 漢 巖과 제자 呑虛를 꼽을 수 있다. 구한말 水月(1855~1928)도 北方 善知識이라 불렸고 鏡虛의 甲山 웅이방에서 入滅한 지 10년 뒤에 찾아내어 예산 정혜원에 주석한 만공에게 서신을 전하여 혜월과 만공이 함께 運樞하여 난덕산에서 茶毘하였다. 이 때 臨終偈 親書筆을 습득하였다. “心月孤圓 光呑萬像 光境俱忘 復是何物”이라 하고 끝에 一圓相(○)을 하 였다. 이러한 경허의 법을 한암이 이었고 한암의 법을 탄허가 계승했다. 탄허의 선사상을 살핌에 있어 남방과는 대비되는 북방의 선사상을 대표하 는 점은 조계종 禪의 여러 수행이론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첫째, 유교․도교․불교가 탄허의 선사상에 미친 영향이 컸 다는 사실을 살필 것이다. 탄허의 탄생 시기의 사회적 배경이나 조선조의 전 통 사대부 사회가 가지는 明心의 의미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는 그의 성장과정을 통하여 사상이 형성됨에 있어서 누구에게나처럼 역사적․사회적․문 화적 영향을 통하여 새로운 사상이 정립되었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둘째로 탄허가 출가 후에 형성된 사상이란 어떤 것이었을까이다. 불교의 수 행을 통하여 어떠한 사상 형태로 정착되었는가를 규명함으로써 그의 일생동 안 선사로서의 면모를 밝혀 보고자 한다. 셋째로 탄허가 일반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지식인, 특히 엘리트층에 대한 탄허의 후배양성과 한국사회의 당시 대학생과 지식인 학자 에 대한 교화의 의미와 신앙생활에 대한 일반신도들에 미친 영향은 어떠했는 지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구의 관점은 선사로의 전통적인 수행납자를 提接하는 조사선문에 서의 형식을 충실히 지켜왔는가에 대한 의미와 새로운 시대에 대한 참선의 일반화에 미친 영향 그리고 좌선만이 꼭 바른 참선은 아니라는 점과 함께 한국에서 북방의 선사상을 규명하는 데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