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에서의 물에 대한 관점과 한강의 시원에 관한 고찰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동양철학에서의 물에 대한 관점과 한강의 시원에 관한 고찰

  • 주제한강의 시원적인 의미정립을 중심으로
  • 시대현대시대
  • 저자자현스님(월정사, 동국대 강사)
목차
위로 가기 동양철학에서의 물에 대한 관점과 한강의 시원에 관한 고찰
한강의 시원적인 의미정립을 중심으로
자현스님(월정사, 동국대 강사)
Ⅰ. 序論
Ⅱ. 중국사상과 물
1. 道家에서의 물
2. 儒敎에서의 물
Ⅲ. 시원에 관한 인식과 우물
1. 한강의 시원 인식
2. 우물과 샘의 생명사상
Ⅳ. 불교와 한강의 시원
1. 『三國遺事』의 관련기록 검토
2. 불교에서의 물과 시원에 관한 인식
3. 金剛淵의 의미와 한강의 시원
Ⅴ. 結論

상세소개
위로 가기

서울은 조선의 이전인 漢城百濟시대까지 더한다면 무려 천년의 역사를 가진 유구한 도읍 이다. 이러한 오랜 수도의 역사는 한강과 함께 해 온 것이며, 그 근원을 살핀다면 이는 거기에 한강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한강이 있었기에 서울은 수도로 존재할 수가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한강의 시원에 관한 정리는 우리역사에 있어서 서울이 차지하는 위상에 비례하여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관련하여 조선조까지는 강원도 오대산의 于筒水와 金剛淵이 그 시원으로 인식되던 것이 현대적인 원거리 개념이 대두되면서 시원지에 대한 문제가 존재하게 된다. 즉, 우리는 한강의 시원과 관련하여 전통에 대한 측면을 수용할 것인지, 또는 지리적인 관점을 기준으로 할 것인지, 그리고 지리적인 관점을 기준으로 한다면 전통적인 측면은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의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선조들이 지리학적으로 한강의 시원을 비정하려고 했던 상황에서 오늘날의 관점에서 볼 때, 더욱더 원거리의 장소가 발견되었다면 한강의 시원지가 옮겨지는 것은 매우 당연 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 조상들은 지리학적인 관점과는 논리적인 층차가 다른 시원에 관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는데 문제의 핵심이 있다. 즉, 시원에 대한 인식에 상호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어떠한 방식을 통해서 이 문제를 획일화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제의 해법과 관련하여 필자는 먼저 전통적인 한강의 시원인식에 관한 來源을 동양학 적인 관점에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는 시원인식의 전통관념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인식을 수립하기 위한 배경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사상에 있어서는 물과 보다 밀접한 철학적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도가에 관해 고찰한 후, 한강의 시원비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유교적인 관점에 대해서 모색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중국사상에서의 물에 대한 인식과 강의 시원 비정에 대한 사상적인 배경을 확보해 보게 된다.

다음으로는 이를 바탕으로 한강의 시원에 대한 우리의 전통적인 인식과 물에 대한 중국문 화권 최초기의 인식, 그리고 우물과 샘에 내재된 전통적인 관점에 관해 모색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중국사상적인 물에 대한 관점이 우리민의 심성구조 속에서 어떻게 연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개연성을 확보해 보게 된다. 이는 조선조에서 한강의 시원을 우통수와 금강연으로 비정하고 있는 것에 대한 한 해법이 된다고 하겠다.

그리고 끝으로 불교적인 관점에 있어서의 한강 시원의 문제에 관해 모색해 보았다. 주지 하다시피, 한강의 시원에 관한 전통관념이 지적하는 우통수는 『三國遺事』에 나타나고 있는 불교기록 및 水精菴과 무관하지 않다. 또한 우통수와 함께 한강의 시원으로 거론되고 있는 금강연 역시 명칭에서부터 결코 불교와 무관할 수 없다. 이는 한강의 시원에 대한 불교 적인 접근이 필연적인 당위성을 확보하는 부분이라고 하겠다. 그러므로 불교적인 인식에 관한 검토는 앞의 도가와 유교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반드시 존재하지 않을 수 없는 측면이 된다.

오류에 의한 문제라면 의당 시정되는 것이 옳다. 그러나 관점이 다른 문제를 수 백년 이래의 전통적인 타당성을 일거에 무시하고 현대의 서구적인 관점에 의해서 일방적으로 재정 립한다는 것은 우리가 문화민족이라는 측면을 스스로 부정하는 어리석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일방적인 잣대로 재단하게 된다면, 과연 우리의 전통문화 중에서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측면이 얼마나 될 수 있을지 또한 의문이 아닐 수가 없다. 그러므로 한강의 시원에 관한 전통관념의 올바른 이해와 정립은 그 자체로 충분한 필연성을 가진다고 하겠 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