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선재동자입상 연구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선재동자입상 연구

  • 주제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선재동자입상 연구
  • 시대현대시대
  • 저자심주완(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목차
위로 가기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선재동자입상 연구
심주완(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1. 머리말
2. 도상적 특징
3. 양식적 특징과 편년
4. 존명과 존상의 배치
5. 맺음말

상세소개
위로 가기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에는 국보 목동자문수보살좌상과 보물 목문수보살좌상이 나란히 예배 대상으로 봉안되어 있다.  이들 존상의 사이에는 작은 규모의 동자상 3구가 자리하고 있다. 그 중에서 중앙에 배치된 동자상이 연구 대상이다. 이존상은 가장자리에 안치된 2존의 동자상과 양식상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동자 상은 일제 강점기의 상원사 소유 목록(1932)에서 문수동자 3존 중에 하나로 인식되었으며,  2011년 8월 12일에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학계에서도 논의된 바가 없다.

이 글은 이 동자상에 주목하여 존상의 명칭과 조성 시기, 봉안 위치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동자상은 존명이 선재동자로, 국보 동자문수보살좌상의 협시상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높다. 이 동자상은 세조와 인연 설화로 유명한 동자문수보살상의 관심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관심 밖에 있었다. 이번 상원사 불교조각을 조명하는 학술 대회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논의를 제기하는 것이다.

선재동자상에 대한 연구는 고려시대 관음보살도의 연구에서 일부 언급되었을 뿐이며,  불교조각으로써 독립되어 연구된 바가 없으며 문수보살상과 연관성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은 국보 동자문수보살상의 협시상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하여 존상의 도상적 특징을 살펴보고 존명을 제시할 것이며, 양식적 특징을 분석하여 조성 시기를 편년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문수전 불감에 봉안된 존상들의 배치에 대하여 견해를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불교조각사에 있어서 오대산 상원사 선재동자상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