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의 도상 기원과 양식 특징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의 도상 기원과 양식 특징

  • 주제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의 도상 기원과 양식 특징
  • 시대1466년
  • 저자유근자(동국대학교)
목차
위로 가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의 도상 기원과 양식 특징
유근자(동국대학교)
1. 머리말
2. 오대산 신앙과 불교 존상
3. 제석천 도상의 기원과 전개
4. 상원사 목조제석천상의 복장 유물 분석
5. 상원사 목조제석천상의 양식 특징
6. 맺음말

상세소개
위로 가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은 1466년(세조 12)에 조성된 상원사 목조문수동 자상과 함께 조성된 조선 전기의 목조각상으로 추정된다. 상원사 목조제석천상은 2008년 9월에 복장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때 복장 전적으로는 묘법연화경 권4-5(1383년), 묘법연화경 권3(1401년), 육경합부(1460년) 등이 수습되었 다. 이와 함께 중수발원문(1645년), 후령통 유물(16세기 추정), 중수기(1862년), 다라니와 함께 후대에 새로 납입한 후령통 등이 발견되었다. 상원사 목조제석천 상의 복장에서 수습된 발원문(1645년)은 목조제석천상의 양식과 일치하지 않는 다. 따라서 이 발원문은 조성시 납입한 조성발원문  이 아니라, 1644-1645년에각해(覺海) 선사에 의한 상원사 중수 때 납입한 중수발원문으로 추정된다.

상원사 목조제석천상의 바닥면에는 또 다른 중수기(1862년, 철종 13)가 부착 되어 있었는데 ‘제석천왕(帝釋天王)’이라고 존상명이 기록되어 있다. 상원사 제석 천상을 1862년에 중수하면서 ‘제석천왕’이라고 한 표현은 조선 후기에 일반적으로 ‘제석’이라고 표기한 것과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천(天)’과 ‘왕(王)’을 연결해 강조하고 있는데, 상원사 문수동자상 조성발원문(1466년)에서도 ‘천제석왕(天帝釋 王)’이라고 하였다.

고려시대에도 ‘제석천’과 ‘천제석’을 혼용해서 사용하였는데 ‘천제석’을 사용한 자료로는 고려사절요(1157년)  , 동국이상국집 권2 「노무편 병서(老巫篇幷書) 」  , 동국이상국집 권25 「대장경을 판각할 때 군신의 기고문[大藏刻板君臣祈告 文]」,  동국이상국집 권41 석도소(釋道疏) 「또 거란 군사를 물리치기 위해 천제석에게 재를 올리는 소[同前攘丹兵天帝釋齋踈]」 6) 등을 들 수 있다. 즉 의종 (1127-1173, 재위 1146-1170) 때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천제석과 관음보 살상을 조성해야 한다는 이야기, 이규보(李奎報, 1169-1241)가 무속인들이 스스 로를 천제석이라고 부르는 것을 비판한 기록, 원나라의 침입으로 국토가 황폐하게 되자 1237년(고종 24) 경전을 간행해 외적을 물리치고자 할 때 천제석의 힘을 빌리고자 하는 내용 등에 ‘천제석’이 등장하고 있다.

이 외에도 1886년(고종 23) 경상도 예천 운복사(雲覆寺)에서 상원사 영산전으로 이안한 제석천상은 ‘제석환인(帝釋桓因)’이라고 하였다. 이 역시 조선 후기에 영산전 또는 나한전에 16나한과 함께 봉안된 제석천상 2구를 ‘좌제석(左帝釋), 우제석(右帝釋)’으로만 표기하던 방식과는 다르다.

조선 세조 때 의숙공주 부부가 발원해 조성한 상원사 문수동자상 조성발원문 (1466년)에는 “석가여래, 약사여래, 아미타불, 문수보살, 보현보살, 미륵보살, 관음보살, 지장보살, 16응진, 천제석왕”을 조성해서 봉안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1466년에 조성된 존상의 목록은 오대산 신앙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며,여기에 ‘천제석왕’을 봉안하였다는 내용이 주목된다. 1466년에 의숙공주 부부가 조성한 ‘천제석왕’이 바로 현재 상원사 문수전에 문수동자상과 함께 안치된 목조 제석천상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첫째, 상원사가 위치한 오대산의 오대(五臺)에서는 여러 존상 가운데 제석천상이 조선시대 이전부터 어떻게 신앙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상원사 목조제석천 도상의 기원과 전개 과정을 서술하고자 한다. 셋째, 상원사 목조제석천상에서 수습된 복장 전적과 후령통 관련 유물을 살펴보고, 1645년과 1862년에 중수와 관련된 복장 기록을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상원사 문수동자상(1466년)을 비롯한 같은 시기 불상과의 양식 비교를 통해 상원사 목조제석천상의 조성 시기를 밝히고자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