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오대산 문수신앙의 역사적 전개와 특징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일본 오대산 문수신앙의 역사적 전개와 특징

  • 주제한국 오대산의 불교문화와 문수신앙
  • 시대5세기
  • 저자중앙승가대 조교수 _ 오인(최복희)
목차
위로 가기 일본 오대산 문수신앙의 역사적 전개와 특징
중앙승가대 조교수 _ 오인(최복희)
Ⅰ. 들어가기
Ⅱ. 나라시대의 오대산 문수신앙
1. 중국 오대산에 최초로 입산한 일본 승려
2. 나라시대 오대산 문수신앙의 개창
Ⅲ. 헤이안시대의 오대산 문수신앙
1. 히예산계통 - 천태종계통
2. 남도불교계통 - 진언종계통
Ⅳ. 가마쿠라시대의 오대산 문수신앙
1. 에이손의 문수신앙
2. 닌쇼의 문수신앙
3. 에이손의 비인구제의 의의 - 왜 문수신앙인가?
Ⅴ. 나가기

상세소개
위로 가기

 5세기 중국에서 발생한 오대산 문수신앙이 일본에 정착이 된 것은 나라시대의 교키가 문수보살의 화신으로 숭배된 7세기 무렵이다. 이후, 헤이안시대를 거쳐서 가마쿠라시대에 이르기까지,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독특한 일본의 문수신앙으로 변화되었다. 교키 이후 헤이안시대에 오대산 문수신앙은 두 계통으로 발전된다. 하나는 사이쵸와 엔닌을 중심으로 하는 히에이잔의 학문적 성격의 문수신앙과, 다른 하나는 곤죠와 타이젠을 중심으로 하는 남도불교의 실천적 성격의 문수신앙이다. 그 후, 가마쿠라시대에는 에이손의 비인구제라고 하는 사회복지 차원의 문수신앙으로 자리매김 된다. 이와 같이 본고는 시대별로 오대산 문수신앙과 관련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서술될 것이다. 일본의 문수신앙을 독특하다고 말하는 것은, 지혜의 상징인 문수신앙이 비인구제라고 하는 자비의 실천적 성격으로 행하여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 가지 의문은 자비는 문수보살이 아닌 관세음보살의 상징성이다. 그렇다면, 자비를 근본정신으로 하고 있는 비인구제가 관음신앙을 바탕으로 해야 마땅할 것이다. 그런데 무엇 때문에 문수신앙을 근본으로 삼았는가 하는 점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