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리신앙의 중국적 전래와 특징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한국 사리신앙의 중국적 전래와 특징

  • 주제오대산 적멸보궁과 사라신앙의 재조명
  • 시대현대시대
  • 저자장미란ㆍ동국대 교양교육원 교수
목차
위로 가기 한국 사리신앙의 중국적 전래와 특징
장미란ㆍ동국대 교양교육원 교수
Ⅰ. 서언
Ⅱ. 사리신앙의 중국전파
1. 전래와 성행
1) 전래
2) 성행
⑴ 수문제의 인수사리탑 조성과 사리봉송
⑵ 당대 법문사 불지사리 공양법회의 정기화
2. 성격
1) 중국에서의 사리개념
2) 사리신앙의 성격
⑴ 사리의 신이성에 의한 감득과 감응의 원리
⑵ 전륜성왕적 의미
Ⅲ. 한국의 사리신앙
1. 전래와 전개
1) 조선시대 이전
⑴ 사리안치와 봉송
⑵ 사리안치의 의미
2) 조선시대
⑴ 오대산 문수신앙
⑵ 사리안치의 의미
⑶ 오대산의 지정학적 의미와 사리신앙
2. 성격
1) 한국의 사리개념
2) 사리의 신이성에 의한 감득과 감응의 원리
3) 전륜성왕적 의미
Ⅳ. 결어

상세소개
위로 가기

사리는 붓다가 남긴 유해의 일부라는 상징성을 지녀 가장 신성한 물건으로 여겨지면서 사리에 대한 신앙은 중국은 물론 한국에 깊숙이 자리잡는다. 이것은 사리신앙이 시각화된 사리장엄구나 탑 등의 조형물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연구는 다각도로 활발하게 연구되어 있다. 그런데 이것은 불교미술사적ㆍ불교사상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경우가 많고, 사리신앙 자체를 중심으로 고찰한 예는 그에 비해 많지 않다. 따라서 중국과 한국에서의 사리개념과 사리를 안치하기 위해 건립된 사탑이 지니는 역사적ㆍ정치적ㆍ지정학적 등 여러 측면에서 그 의미를 찾아봄으로써 사리가 지닌 함의와 그 신앙의 성격에 대해 생각해보려고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