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臺山 文殊華嚴 신앙의 특수성 고찰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五臺山 文殊華嚴 신앙의 특수성 고찰

  • 주제오대산 화엄의 특징과 탄허의 원융사상
  • 시대현대시대
  • 저자자헌 (동국대 강의전담교수) (월정사 교무)
목차
위로 가기 五臺山 文殊華嚴 신앙의 특수성 고찰
자헌
동국대 강의전담교수
월정사 교무
Ⅰ. 序論 - 聖山의 특수성과 원융사상
Ⅱ.慈藏의 문수화엄 신앙
1. 자장의 戒律과 神異靈應
2. 중국오대산과 문수화엄
3. 한국오대산의 당위성
Ⅲ. 寶川의 문수화엄 신앙
1. 보천과 효명의 오대산 정착
2. 보천의 오대산 신앙체계
Ⅳ. 結論 - 오대산의 원융전통과 呑虛宅成

상세소개
위로 가기

종교성지는 특정종교와 관련해서 聖人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聖蹟이나, 상징적인 재해석을 통해서 俗의 공간이 聖화되면서 발생한다. 불교문화와 관련해서 중국과 우리나라에도 많은 불교성지들이 존재한다. 성지가 일반적으로 특정범주의 제한된 공간을 의미한다면, 이러한 성지가 산악숭배와 연관되어 보다 확대되는 것으로 聖山인식에 관한 측면이 있다. 즉, 성산개념은 산 전체를 일종의 종교특구로 인식하는 관점이라고 하겠다. 인도불교에서 성산인식의 대표적인 경우로 우리는 玄奘이 인도성적순례 중에 참배하는 관세음보살의 주처인 布呾洛迦山과 같은 경우를 들 수 있다. 또 비실재적이긴 경우로는 『華嚴經』 「菩薩住處品」에 나타나 보이는 여러 성산들을 생각해 볼 수가 있겠다.

이러한 「보살주처품」의 성산인식 속에 중국불교의 4대 성산, 즉 文殊-五臺山·普賢-峨眉山·觀世音-普陀/洛迦山·地藏-九華山 중 오대산과 보타락가산도 존재한다. 또 우리나라의 金剛山과 같은 경우도 여기에 해당한다.성지와 같은 경우는 대단히 많다. 예컨대, 관세음보살과 관련된 3대 관음도량으로서의 낙산사 홍련암·보문사·보리암과 같은 경우나, 붓다의 사리와 관련된 5대 寶宮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사실 따지고 보면, 어느 정도 이상의 역사와 전통이 있는 가람이 위치한 곳은 크건 작건 성지인식이 존재한다. 만일 특정한 성지인식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수 백년 이상의 유구한 전통유지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3대 관음도량이 보살의 주처에 의한 연관성에서 성립된다면, 5대 보궁과 같은 경우는 붓다 사리의 신성성에 입각하고 있다. 즉, 양자사이에는 ‘장소라는 이동불가’와, ‘유물이라는 이동가능성’의 서로 다른 논리적 층차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성지와 달리 성산인식은 극히 제한적이다. 중국과 같은 경우도 4대 성산 정도일 뿐이며,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는 북한의 금강산과 남한의 오대산이 전부이다. 즉, 남한불교의 유일한 성산은 오대산 뿐인 것이다. 성산의 인식에서 인도나 중국은 한 보살신앙으로 특화된 특정특구의 개념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는 특정 신앙대상이 되는 보살을 중심으로, 전체불교를 아우르는 융합적인 복합특구의 관점을 보이고 있어 차이가 있다. 이는 오대산 중대의 적멸보궁을 통해서 단적인 파악이 가능하다. 중대의 비로자나불과 문수주처에, 석가모니의 사리까지 모시면 더욱 더 금상첨화라는 인식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의 긍정적인 작용은, 고려시대 한국오대산의 약진을 통해서도 시사받아 볼 수가 있다. 『삼국유사』에는 오대산불교와 관련된 항목이 「臺山五萬眞身」·「溟州(古河西府也) 五臺山寶叱徒太子傳記」·「臺山月精寺五類聖衆」·「五臺山文殊寺石塔記」의 총 4편에 걸쳐 존재하고 있다. 이는 신라의 국찰인 황룡사가 「皇龍寺丈六」·「皇龍寺九層塔」·「皇龍寺鐘 芬皇寺藥師 奉德寺鍾」·「迦葉佛宴坐石」의 4편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당시 오대산불교의 성세 영향이 반영된 것이다.특히 황룡사와 관련된 「皇龍寺鐘 芬皇寺藥師 奉德寺鍾」과 「迦葉佛宴坐石」이 황룡사의 특정 유물에 대한 것일 뿐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삼국유사』를 대표하는 신앙중심은 오대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오대산 월정사를 백두산의 大脈으로 보는 동시에 최고의 명당지로 꼽는 것을 통해서도 단적인 파악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물론 원융적인 관점은 금강산에서도 확인된다. 그러나 오대산은 개산부터 문수화엄이라는 원융적인 관점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높은 자유도를 확보하고 있었다고 하겠다. 한국오대산은 「보살주처품」의 淸涼山이 중국오대산을 거쳐 다시금 재생산되는 과정에서 파생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단순도입이 아닌 우리적인 재해석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이것이 바로 한국오대산의 융합적인 관점으로 완성되고 있다. 즉, 중국오대산과 한국오대산은 靑出於藍靑於藍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오대산의 문수화엄에 기반한 원융적 관점은, 개창자인 자장에 의해 비롯되어 확립자인 보천에 의해 완성된다. 그러므로 원융관에 입각한 문수화엄신앙에 대한 고찰은, 남한 유일의 성산인 오대산불교를 올바로 이해하는 중요한 입각점이 된다고 하겠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