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인도의 출가문화와 불교
- 주제출가문제에 대한 종합적 고찰 -출가절벽 시대의 한국불교, 반전의 돌파구는 없는가?-
- 시대3세기
- 저자조준호(고려대 철학연구소, 연구원)
목차
위로 가기 인도의 출가문화와 불교조준호(고려대 철학연구소, 연구원)
Ⅰ. 들어가는 말
Ⅱ. 출가전통의 기원과 의의
1. 출가의 의미와 조건
1) 출가의 의미
2) 출가의 조건
2. 출가의 생활방식
3. 출가의 의의와 가치
Ⅲ. 출가 동기와 유형
Ⅳ. 할절의와 승복 문제
Ⅴ. 지역불교의 출가전통
Ⅵ. 출가환경 답사기록
상세소개
위로 가기세계종교 가운데 출가는 불교의 독특한 종교적 특성이다. 본고는 인도 출가전통의 기원과 의미 등을 살펴본다. 또한 초기경전에 바탕하여 출가 자의 출가동기와 유형 또한 살펴본다. 불교는 본래 출가의 종교였다. 불 교역사는 항상 출가지향에 있다. 이러한 출가자의 공동체는 인류역사 상 최초의 수행 전문 조직체의 출범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전도선언에서 나타나듯이 모든 부류를 위한 전문 포교 조직체의 출범을 의미하기도 한 다. 이러한 출가 조직은 인류 역사 상 최초로 전문 조직체의 거점[사찰] 을 확보하여 활동하였다. 이는 같은 인도 종교 가운데 불교보다 먼저 있 었던 바라문교나 자이나교보다도 더 빨랐다. 나아가 불교출가는 인류 역사 상 최초로 여성을 같은 공동체 내 남성과 동등한 개념의 종교인으로 인정한 종교일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조직체는 인류역사상 최초로 ‘전지구적 종교교단 개념’을 천명한 종교일 것이다. 나라와 민족을 넘어있는 사방승가 개념이 그것이다. 인류 역사 상 두 번째로, 아마 자이나교 가 첫 번째, 전문종교집단의 신도개념인 재가자와 연합조직체의 종교집단 [parisā, 사부대중 또는 칠중]이 탄생한 것일 것이다. 실로 불교의 출가 는 인도불교사는 물론 세계 종교사에서도 큰 의미와 독특한 지위를 가지 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불교의 출가문화의 기원과 전개에 대해서 살펴보 고 다시 인도불교의 직접적인 연장선상에 있는 스리랑카와 동남아로 전 승된 상좌불교권에서 행해지는 출가환경을 분석해 본다. 이로써 한국불교 가 당면한 출가와 관련한 문제에 있어 시사점이 무엇이 될 수 있는지를 제고해 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