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대한불교조계종 개혁종단의 이념 정체성과 승가교육의 정향(定向)
- 주제출가문제에 대한 종합적 고찰 -출가절벽 시대의 한국불교, 반전의 돌파구는 없는가?-
- 시대1994년
- 저자조기룡(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
목차
위로 가기 대한불교조계종 개혁종단의 이념 정체성과 승가교육의정향(定向)
조기룡(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
Ⅰ. 서언
Ⅱ. 개혁종단의 출범 배경과 이념
1. 총무원장 독재와 민주화
2. 상무대 사건과 자주화
3. 개혁종단의 주체와 그 이념의 한계: 사회운동의 세속성 관점에서
Ⅲ. 개혁종단 승가교육의 성과 및 한계
1. 성과
1) 교육원의 별원화
2. 한계: 승가교육의 정체성-수행과 교학의 이원화
Ⅳ. 대한불교조계종 승가교육의 정향
1. 승려가
상세소개
위로 가기1994년은 그 동안 현대한국불교에 있어서 개혁의 해로 조명되어왔다. 1962년 통합종단 출범 이후 조계종단의 최대 개혁이 이 해에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이 종단개혁을 통해 조계종은 총무원장과 본사주지의 선거 선 출, 교구종회 설치, 총무원‧교육원‧포교원 3원 체제 수립, 총무원장과 중 앙종회의원의 겸직금지 등 현재 조계종 운영의 근간을 구축하였다. 이에 조계종은 1994년 개혁의 과정을 개혁불사(改革佛事)로 부르고, 그 때 출 범한 종단을 ‘개혁종단’이라 칭한다. 개혁불사는 1994년 이른 봄에 열린 구종법회(救宗法會)로부터 그해 늦 은 가을에 개혁회의를 해산하기까지가 가장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그 핵 심에는 서의현 총무원장 3선 반대가 자리하고 있었다. 서의현 총무원장이 무소불위의 종권(宗權)을 행사해왔고 그로 인한 종단의 부패가 산적하였 기에 그의 3선 반대를 막아내고 출범한 개혁종단은 파사현정(破邪顯正)과 정법수호(正法守護)의 구현체로 인식되고 있다. 개혁 과정이 치열하였던 만큼 그러한 인식도 강하게 나타난다. 개혁종단 출범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개혁불사와 개혁종단은 그 자 체로서 절대적 권위를 인정받아왔다. 그러나 20여년이 흐른 지금에는 개 혁불사의 과정과 개혁종단의 성과에 대한 재평가의 목소리도 어렵지 않 게 들을 수 있다. 개혁불사의 과정에 대해서는 그 과정이 불교적으로 여 법(如法)하였는가이며, 개혁종단의 성과에 대해서는 조계종단이 종권의 구습을 현재 제대로 청산하였는가가 논란의 핵심이다. 이 문제의 해답을 찾기 위해선 개혁종단의 이념이 무엇이고, 이념의 배 경이 어떠했는지에 대한 고민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이에 본고는 개혁종 단 이념의 정체성이 무엇이고, 어떻게 그것이 형성되었는가를 분석할 것 이다. 그리고 그 이념의 정체성을 불교적 정향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 다.본고는 ‘정향’의 개념을 정향(正向)과 정향(定向)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것이다. 양자는 목표를 지향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정향(正向)의 지향 목표는 임시적‧가변적이지만 정향(定向)의 지향 목표는 영구적‧불변적이 다. 정향(正向)은 시대상황에 부합되게 설정된 목표를 향하여 나아간다는 개념이며, 정향(定向)은 어느 시대, 어떤 상황에서도 변할 수 없는 본분인 목표를 향하야 나아간다는 개념이다. 이에 본고는 개혁종단 이념의 정체성을 1994년 종단개혁 당시 요청받 았던 시대적‧상황적 이념인 정향(正向)을 넘어서 승가가 본래 나아가야 할 궁극적 이념인 정향(定向)의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개혁종단의 출범배경과 이념을 1994년 당시 한국사회의 시대상황과 연계 하여 분석할 것이다. 이는 개혁종단의 이념이 종교적‧불교적 지향인 정향 (定向)이 아닌 시대적‧사회적 지향인 정향(正向)에 경도되었는지를 파악하 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개혁종단 이념의 정향을 분석 한 후에는 승가교육의 정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계종의 승가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시대적‧상황 적 필요가 아니라 이를 초월한 종교적‧불교적 필요에서 모색하겠다는 것 이다. 이해를 돕고자 예를 든다면, 스마트 교육이 현재의 시대상황에 필 요한 정향(正向)이라면 출가정신 정립은 시대상황을 초월하여 종교적‧불 교적으로 필요한 정향(定向)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본고는 승가교육의 시대방편이 아닌 본래면목에서 정향을 찾고자 한다. 그리고 승가교육의 본래면목은 ‘깨달음의 성취와 보살도의 실천’에 있는 바, ① 승려가치관 의 정립, ② 계(戒)․정(定)․혜(慧) 삼학(三學)의 총체화(總體化), ③ 전통[內 典]과 현대[外典]의 조화 ④ 사회와 소통 등을 승가가 시대와 상황을 초 월하여 승려에게 교육해야만 하는 정향(定向)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깨달 음의 성취를 위해선 승려가치관의 정립과 삼학의 총체화가 필요하며, 보살도의 실천을 위해선 전통[내전]과 현대[외전]가 조화와 불교와 사회의 소통이 필요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