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례여행의 목적과 실행프로그램 개발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순례여행의 목적과 실행프로그램 개발

  • 주제오대산 치유 순례길
  • 시대2003년
  • 저자인경 스님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이사장)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목차
위로 가기 순례여행의 목적과 실행프로그램 개발
- 오대산 순례길의 프로그램 개발방안을 중심으로
인경 스님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이사장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1. 머리말
2. 성지순례의 의미
1) 불교 성지순례의 기원
2) 순례여행과 관광여행
3) 영화 나의 산티아고 에 나타난 순례의 의미
3. 산행 과 山行 순례여행의 동기
1) KBS 다큐의 인터뷰 분석
2) 네이버 밴드 명상상담의 설문 분석
3) 논의사항
4. 오대산

상세소개
위로 가기

본 학술대회는 월정사의 주지이신 정념스님의 원력에 의해서 오대산 순례길을 조성사업을 마치고 회향 기념으로 진행된 것으로 알고 있다 오대산의 역사적인 의미를 재조명하여 문화적 기록과 함께 새롭게 명상을 함께 할 수 있는 순례길을 새롭게 조성하고 완공하였다. 이런  월정사 오대산 순례길 의 조성은 그 의미가 매우 깊다고 본다 첫째는 우선적으로 기존의 제 세대 1 불사가 주로 무너진 사찰 건물을 다시 짓는 방식인데, 이것과는 사뭇 다른 새로운 성격의 불사로서 그 의미를 충분하게 가치가 있다 둘째는 . 사찰의 담벽을 넘어서 순례길을 조성함은 제 세대 2 불사에 해당되는 바로서 역사 문화적인 지평을 넓게 확장하고 지역사회의 , 발전과 연계가 되면서 공동체 의식을 공유하게 된 점은 결코 과소평가할 수 없다 셋째 제 세대 . ( 3 ) 불사 는 나아가서 현대사회의 환경문제를 비롯한 스트레스와 같은 다양한 문제로 고통받는 현대인들에게 자기를 발견하고 치유하는 명상여행을 할 수 있는 중요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역시 중요한 점이라 생각한다. 국내에서 걷기문화는 불교의 2003 걷기 명상 과 함께 년 틱낫한 스님이 한국 방문하여 대중들과 걷기 명상을 함께 하면서 널리 언론을 통해서 알려지고 명상여행에서 , 중요한 실 천의 수단이 되었다 그리고 . 2007 산티아고 순례길을 모델로 해서 년 제주도 올레길이 개설되어 년에 , 2012 21 420 . 개 코스 ㎞가 완결되었다 이후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서 전국적으로 유사한 많은 산책로나 종교적 순례길이 조성되는 붐을 일으켰다 이후로 . 산책길은 명상 하는 순례길로 인식하게 된 계기가 되었고 명상붐과 함께 더욱 시너스 효과를 가져왔다 이런 이유로 본고는 연구문제로 걷는 순례 여행의 동기가 무엇인지와 함께 순례 여행 의 목적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개발제안을 하고자 한다 먼저 순례 여행의 의미 와 목적을 살펴보기 위해서 영화 나의 산티아고에 나타난 의미를 분석해보고 국내에서는 조계산 송광사와 선암사의 왕래길을 다룬 다큐의 인터뷰와 필자가 운영하는 네이버 밴드 명상상담 의 설문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는 오대산 월정사 순례길 프로그램 개발방안에 대한 개인적 의견을 피력하고자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