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순례여행의 목적과 실행프로그램 개발
- 주제오대산 치유 순례길
- 시대2003년
- 저자인경 스님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이사장)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목차
위로 가기 순례여행의 목적과 실행프로그램 개발- 오대산 순례길의 프로그램 개발방안을 중심으로
인경 스님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이사장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1. 머리말
2. 성지순례의 의미
1) 불교 성지순례의 기원
2) 순례여행과 관광여행
3) 영화 나의 산티아고 에 나타난 순례의 의미
3. 산행 과 山行 순례여행의 동기
1) KBS 다큐의 인터뷰 분석
2) 네이버 밴드 명상상담의 설문 분석
3) 논의사항
4. 오대산
상세소개
위로 가기본 학술대회는 월정사의 주지이신 정념스님의 원력에 의해서 오대산 순례길을 조성사업을 마치고 회향 기념으로 진행된 것으로 알고 있다 오대산의 역사적인 의미를 재조명하여 문화적 기록과 함께 새롭게 명상을 함께 할 수 있는 순례길을 새롭게 조성하고 완공하였다. 이런 월정사 오대산 순례길 의 조성은 그 의미가 매우 깊다고 본다
첫째는 우선적으로 기존의 제 세대 1 불사가
주로 무너진 사찰 건물을 다시 짓는 방식인데,
이것과는 사뭇 다른 새로운 성격의 불사로서
그 의미를 충분하게 가치가 있다 둘째는 . 사찰의 담벽을 넘어서 순례길을 조성함은 제 세대 2
불사에 해당되는 바로서 역사 문화적인 지평을 넓게 확장하고 지역사회의 , 발전과 연계가
되면서 공동체 의식을 공유하게 된 점은 결코
과소평가할 수 없다 셋째 제 세대 . ( 3 ) 불사 는 나아가서 현대사회의 환경문제를 비롯한 스트레스와 같은 다양한 문제로 고통받는 현대인들에게 자기를 발견하고 치유하는 명상여행을 할
수 있는 중요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역시 중요한 점이라 생각한다.
국내에서 걷기문화는 불교의 2003 걷기 명상 과 함께 년 틱낫한 스님이 한국 방문하여
대중들과 걷기 명상을 함께 하면서 널리 언론을 통해서 알려지고 명상여행에서 , 중요한 실
천의 수단이 되었다 그리고 . 2007 산티아고 순례길을 모델로 해서 년 제주도 올레길이 개설되어 년에 , 2012 21 420 . 개 코스 ㎞가 완결되었다 이후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서 전국적으로 유사한 많은 산책로나 종교적 순례길이 조성되는 붐을 일으켰다 이후로 . 산책길은 명상
하는 순례길로 인식하게 된 계기가 되었고 명상붐과 함께 더욱 시너스 효과를 가져왔다
이런 이유로 본고는 연구문제로 걷는 순례 여행의 동기가 무엇인지와 함께 순례 여행
의 목적에 부응하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개발제안을 하고자 한다 먼저 순례 여행의 의미
와 목적을 살펴보기 위해서 영화 나의 산티아고에 나타난 의미를 분석해보고 국내에서는 조계산 송광사와 선암사의 왕래길을 다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