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마음치유의 고향 숲과 불교명상시의 상관성
- 주제오대산 치유 순례
- 시대2005년
- 저자백원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석좌 교수)
목차
위로 가기 마음치유의 고향 숲과 불교명상시의 상관성백원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석좌 교수
I. 서 론
II. 숲속 명상 과 문학치유의 관계성
1. 숲속 명상 의 효과
2. 숲속 명상 과 시문학 치유의 관계성
III. 마음치유의 고향으로서 숲과 ‘ ’ 불교명상시
1. 관조와 비움의 명상시
2. 숲 속 명상과 화엄적 사유
3. 숲 교감과 공감의 연대의식
IV. 나오는 말
상세소개
위로 가기오늘날 우리 사회는 이성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감성 중심의 치유와 회복력을 요구하고 있다 미. (Rolf Jenssen, 1942~) 래학자 롤프 옌센 은 드림 소사이어티 에서 정보화 사회에 뒤이어 도래할 미래 사회로, 꿈과 이야기와 같은 감성적인 요소와 상상력이 중요시되는 사 회를 주장한 사실이 이를 방증한다. 그의 주장은 이야기를 하나의 코드로서 적극 활용하고 있는 문화콘텐츠로서 대중들의 공감과 소통의 감정을 한결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또한 대중의 참여와 체험을 공유할 때 보다 생생하게 메시지가 전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숲과 불교명상시는 심신치유 이야기로 공감과 소통의 장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무엇보다 숲에서 나오는 다양한 피톤치드(phytoncide)와 향기 새소리 물 소리,바람소리 아름다운 풍경 음이온 산소 햇빛 흙 등은 오감을 편안하게 하는 치유 요소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신원섭의 숲속에 들어가면 머리가 맑아지고 집중력도 오르고 사색과 명상이 잘 된다 그 이유는 자연의 비타민 이라고도 불리는 음이온이 알파파를 활성화시켜 명상을 도와주기 때문이다." 라고 언급은 이를 방증한다. 오늘날 대중들이 숲을 찾아 숲의 아름다운 풍경뿐만 아니라 내 안의 풍경 을 함께 들여다봄으로써 집착과 탐욕을 잠시나마 내려놓고 단순함과 비움을 통해 내면의 충만함을 얻고자 하는 것도 이런 이유이다. 그렇다면 숲은 단순한 휴식 공간의 차원을 넘어 심신의 편함과 본성을 찾고 소통과 공감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상당한 역할을 해 오고 있다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숲명상을 기반으로 한명상시 또한 내면의 상실과 아픔 불안 갈등 스트레스 등 다양한 심리적 문제를 치유하고 조화와 어울림, 소통과 공감의 장으로 안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마음속 깊은 곳에서 회상되고 분출되는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한 명상시에는 다양한 마음의 스펙트럼이 담겨 있어 그 반향과 울림의 진폭이 넓고 깊기 때문이다. 특히 숲과 명상의 조화로운 관계에서 생산된 불교명상시 는 고단한 마음을 쉬게 하고 흐렸던 정신을 맑아지게 하는 등 새로운 인식의 세계로 안내하는 특징이 있다 그것 . 은 문학의 본질적 기능인 심리 치유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 서는 마음의 고향으로 여겨질 수 있는 숲과 명상의 조화로운 관계에서 창작된 불교명상시를 중심으로 관조와 비움의 충만, 숲길 명상과 화엄적 사유 숲과의 교감에서 오는 연대 의식을 통한 치유적 의미를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