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에서 심신상관의 고찰 알라야식설의 : 관점에서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선정에서 심신상관의 고찰 알라야식설의 : 관점에서

  • 주제알라야식론의 이야기
  • 시대현대시대
  • 저자야마베 노부요시 (山部 能宜) (일본 와세다대학 · 교수)
목차
위로 가기 선정에서 심신상관의 고찰 알라야식설의 : 관점에서
야마베 노부요시 山部 能宜
일본 와세다대학 · 교수
Ⅰ. 도입
Ⅱ. 離生喜楽 을 둘러싼 현양성교론 의 논의
Ⅲ. 집수와 안위동일 安危共同 心身相関
Ⅳ. 알라야식이 지지하는 심신상관의 구조
Ⅴ. 선정에 의한 심신의 변용
Ⅵ. 결론

상세소개
위로 가기

오늘은 알라야식론의 이야기를 하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이것은 , 말할 필요도 없이 식에 관란 논의의 일부이기 때문에 우선 , 최초에 유가행파의 식론의 구조를 개 관해 두고 싶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우리들에게는 오감이 있고 합해서  5 전식 이라고 합니다.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를 맡고 혀로 맛을 보고 그리고 피부감각 이런 것을 말합니다. 또한 그것을 일괄해서 판단하는 혹은 , 좋아하거나 싫어함 등의 감정을 포함하는 통상 우리 들이 일상적인 의미로 마음 에 가까운 의식 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상이 표층의 마음입니다. 상식으로 아는 부분입니다. 유가행파는 그 아래에 심층의 마음으로서 두 종류의 마음을 도입합니다. 하나가 염오의 혹은 말나식라는 것으로 이것은 자아의식 입니다만 잠재적인 , 자아의식으로 자신도 알아채지 못하는 사이에 자신의 상황을 생각 하는 듯 한 무의식의 자아의식을 염오의라고 합니다. 한편 . 그 아래에 있는 것이 알라 야식이라는 것으로 인간존재의 근원이고 과거의 , 경험이 전부 담겨있는 듯 한 그러한 심층의식입니다. 이 두 가지는 유가행파에서 독자적인 것입니다. 오늘은 그 가운데 알라야식에 대해 생각하고 싶은 것이지만 유가행파가 , 이러한 설을 주장하기까지 불교에서 알라야식이라는 것은 설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러한 , 새로운 개념이 어떻게 도 입되었는가 라는 ? 문제가 제기됩니다. 이런 것에 대해서는 근대불교학의 꽤 이른 시 기부터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고 특히 , 람버트 슈미트하우젠 교수의 논의가 중요하 지만 이번에는 시간관계상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는 생략하고 바로 저의 견해를 소개 하고자 합니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