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불교의 성지순례 – 조산 (朝山)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대만불교의 성지순례 – 조산 (朝山)

  • 주제나를 찾아 떠나는 선재길
  • 시대서한 시대
  • 저자혜호스님 (서울 대만 불광산사 주지)
목차
위로 가기 대만불교의 성지순례 – 조산 (朝山)
혜호스님
(서울 대만 불광산사 주지)
1. 조산의 사전적 의미
2. 중국불교의 조산
3. 대만 불광산사의 조산
4. 조산의 방법
5. 조산의 의미

상세소개
위로 가기

불광대사전 조산항목을 보면 ‘불자들이 먼 곳의 명산 대사(大寺)에 가서 부처님과 보살에게 향을 올리며, 업장을 참회하거나 서원을 갚는 순례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관습은 서한(西漢) 시대에 유행하기 시작했다. '서장신지(西藏 新志)'에 따르면, 부처님께 열심히 예배 하는 사람들은 천리를 마다하지 않고 라싸에 이르러, 달라이 궁전 앞에서 무릎을 꿇고 달라이 라마가 나타나기를 기다린다. 달라이 라마를 만날 수 있다 면, 그들은 큰 영광으로 여기고 많은 금을 바친다; 만나지 못한다면, 궁전을 향해 절하고 돌아간다. 집안 재산을 팔아 금과 은으로 바꾸어 옷 안에 꿰매고, 길을 떠나 구걸하며 티베트에 이르는 사람들도 있다. 이를 '조산(朝山)'이라 하며, '조활불(朝活佛)'이라고도 한다. 이외에 수행자들은 도를 구하는 진실된 마음을 표현하기 위해, 3보 1배 방식으로 성지를 순례한다. 그래서 이를 ' 배산(拜山)'이라고도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