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천과 효명의 오만진신신앙과 결사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보천과 효명의 오만진신신앙과 결사

  • 주제한국 고 중세 오대산의 고승과 역사
  • 시대신라시대
  • 저자장미란 (동국대학교)
목차
위로 가기 보천과 효명의
오만진신신앙과 결사
장미란
(동국대학교)
Ⅰ. 서언
Ⅱ. 신라오대산의 오만진신신앙 형성
Ⅲ. 오만진신의 신앙체계와 특징
Ⅳ. 오대산신앙의 신앙결사(社)
Ⅴ. 결어

상세소개
위로 가기

신라 오대산신앙은 문수도량이었던 오대산을 당시 신라에서 신앙화된 모든 불보살의 진신이 상주하는 성지로 신앙을 확장시킨다. 이것은 보천과 효명이 오대산에서 경험한 신이적인 일들로 증명된다. 이들의 종교체험들은 화엄의 법계원융관에 문수 중심으로 모든 불‧보살을 통합한 오만진신 신앙체계를 성립하는 배경이 된다. 오대산의 오만진신 신앙화는 성덕왕이 된 효명의 진여원을 시작으로 보전의 유기(留記)에 의해 오만진신의 신앙체계가 완성된다. 그 체계는 오대산의 5 방위에 각각 신앙대상인 불보살을 본존과 권속으로 배치하고, 이에 대한 신앙의식으로서의 독경과 예참, 신앙 실천을 위한 5대(臺) 5사(社)‧5대사(臺社)의 본사 1 사(社)‧하원의 6사(社)의 총괄 사찰로 조직된 신앙결사 등을 내용으로 한다. 현재 오대산신앙이 불교신앙의 보고(寶庫)로서 지속과 확장, 나아가 전승이 가능한 것은 오만진신 신앙체계에 신앙결사, 실천방법인 독경과 예참, 이를 뒷받침해준 국가적 차원의 경제적 지원이 크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은 이에 주목하여, 먼저 오만진신신앙의 형성을 보천과 효명의 신이적 체험을 배경으로 하여 서술한 후, 다음으로 오만진신의 신앙체계와 특징, 오대산 신앙결사의 성격과 그 실천방법이 지닌 의미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