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제석천 신앙과 신라 왕실과의 관계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신라의 제석천 신앙과 신라 왕실과의 관계

  • 주제한국불교에서의 제석천이 가지는 의미와 제석신앙
  • 시대579년∼632년
  • 저자자현스님 (월정사 수행원장, 중앙승가대학교 교수)
목차
위로 가기 신라의 제석천 신앙과 신라 왕실과의 관계
자현스님
(월정사 수행원장, 중앙승가대학교 교수)
Ⅰ. 서론
Ⅱ. 불교의 우주론과 도리천에 대한 인식 혼란
Ⅲ. 상대 신라의 제석 신앙과 왕실
1. 진평왕 대의 제석 신앙 분석
2. 선덕여왕 대의 제석 신앙 분석
Ⅳ. 중대 신라의 제석 신앙과 왕실
1. 중대 초기 제석 신앙과 특징
2. 중대 후기 제석 신앙과 특징
Ⅴ. 결론

상세소개
위로 가기

불교가 수용된 후의 중대 신라는 불교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진흥왕은 자신을 아소카왕과 비견하며 불교의 이상 군주인 전륜성왕을 추구한다. 이는 삼국유사 권2의 「황룡사장육」이나 진흥왕의 아들이 동륜과 금륜金輪(혹 舍輪)인점 등을 통해서 확인해 볼 수 있다. 또 동륜태자와 진평왕 때가 되면, 자신들을 붓다의 가계와 일치시키려는 모습이 나타난다.즉 석가진종설釋迦眞鍾說로 이는 진평왕의 이름이 백정白淨이며, 동생은 각각 백반伯飯과 국반國飯(국반의 딸이 진성여왕임)인 것을 통해서 판단해 볼 수 있다. 붓다의 가계는 4남 8자로 칭해지는데, 4남은 사자협왕의 네 아들로 각각 정반(혹 백정)·백반·곡반(혹 국반)·감로반이다. 그런데 동륜의 동생인 금륜 진지왕이 붕어 혹은 국인에 의해 폐해진 뒤, '동륜계의 진평왕이 등극하면서 불교 안에 제석과 도리천 신앙이 강력한 모습으로 대두하고 있어 주목된다. 즉 신앙적인 변화가 목도되는 것이다. 이를 불교가 안정되고 중심 사상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제석 신앙을 통해 기존의 천신 숭배를 아우르려는 모습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신라 성골의 존재를 동륜계의 특별한 변별로 보는 연구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주체는 22세 무렵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동륜이 아닌, 54년의 재위 기간(579∼632)을 가지는 진평왕이다. 이렇게 놓고 본다면, 진평왕의 즉위와 더불어 제석 신앙과 천사옥대(聖帝帶)에 대한 내용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제석 신앙과 성골의 관계 역시 일정 부분 연결될 수 있다고 하겠다. 실제로 진골에 의해 중대 신라가 시작된 이후에는 제석 신앙보다는 용 신앙과 천사옥대를 대신하는 용과 관련된 흑옥대가 등장한다. 이는 상대와 중대의 집권층 변화와 이에 따른 신앙 변화를 유추해 볼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제석 신앙은 하대 신라가 되면, 경덕왕의 요청으로 자녀(혜공왕)의 성별이 바뀌는 등 친왕실의 의존적인 면모가 확인된다. 즉 제석 신앙과 관련된 신라 왕실의 재변화가 목도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제석 신앙은 고려에서는 왕실 중심으로 제석 도량이 다수 개설되었다. 즉 신라를 넘어서 제석 신앙이 왕실과 관련해 유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신라의 왕실과 관련된 제석 신앙에 대한 검토는 매우 중요한 연구사적 의의를 확보한다고 하겠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