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獻으로 본 月精寺 八角九層石塔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文獻으로 본 月精寺 八角九層石塔

  • 주제文獻으로 본 月精寺 八角九層石塔
  • 시대신라시대
  • 저자강 병 희 (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
목차
위로 가기 文獻으로 본 月精寺 八角九層石塔
강 병 희 (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
1. 머리말
2. 塔의 造成時期
1) 慈藏
2) 寶川과 聖德王
3) 信孝거사
4) 信義頭陀
3. 奉安舍利의 性格
4. 藥王菩薩의 造成背景
5. 맺음말

상세소개
위로 가기

精寺塔에 관해서는 解體復元略報  , 實測調査報告書  , 그리고 高麗時代 多角多層塔을 서술하는 여러 편의 논문들이 있다.  이 외에 일제시대에 쓰여진 寺蹟巡禮記들이  있어 근대화 이전의 유물의 현황과 현재 남아 있지 않은 寺塔에 관련된 정보들을 전해 준다. 한편 여러 번 사찰이 소실되어 소장된 고문헌들이 유실된 것에 비하면 관련 사료들이 많이 남아 있는데 아래와 같다.

『三國遺事』卷三, 塔像 第四,「 前後所藏舍利」 『三國遺事』卷三, 塔像 第四,「 臺山五萬眞身」 『三國遺事』卷三, 塔像 第四,「 溟州 五臺山寶叱徒太子傳記」 『三國遺事』卷三, 塔像 第四,「 臺山月精寺五類聖衆」 『三國遺事』卷四, 義解 第五,「 慈藏定」 閔漬,「 五臺山聖迹幷新羅淨神太子孝明太子傳記」 閔漬,「 孝信居士親見五類聖衆事跡」 閔漬,「 奉安舍利開建寺巖第一祖師傳記」 彙晉,「 五臺山月精寺重建事蹟記」 宋光淵,『 泛虛亭集』卷七, 記 十二「 , 五臺山記」 『惺所覆藁』 , 卷七, 文部 四, 記「 , 鼈淵寺古迹記」 景奭, 白軒集, 卷31,「 上院寺重修記」 鄭元容,『 經山集』卷13 『增補文獻備考』 , 輿地考 十一, 山川 江原道 江陵丘山 五臺山條 『輿地圖書』上, 江陵府 江陵五臺山地圖(南大博物館所藏) 이들 사료들은 부분적으로 서로 엇갈리고 있어 아마 조금씩의 착오가 있는 듯하다.

이 중 가장 연대가 올라가는 고려말의『三國遺事』와 閔漬의 기록들을 중심으로 살펴 보면 月精寺는 대체로 신라 선덕여왕 때, 唐으로부터 돌아 온 慈藏법사가 문수보살을 만나기 위해 五臺山으로 와서 草庵을 지음으로 비롯되어 그 뒤 信孝居士, 梵日의 門下인 信義頭陀, 水多寺의 長老 有緣대사가 寺勢를 넓혀 온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각각의 내용들이 단편적이고 대략적인 사실만 서술하고 있어 절이 언제, 어떻게, 어떤 규모로 창건 혹은 중창되었으며 塔은 그 중 어떤 시기에 만들어졌는지 자세히 알 수 없다.

또 문제가 되는 것은 오대산 진여원과 관련된 淨神대왕 寶川태자와 孝明태자의 기록이다. 孝明태자는 뒤에 新羅 聖德王이 되어 오대산에 진여원을 비롯한 많은 佛事를 이룩하였으나 閔漬와 一然은 이와 관련된 내용을 아울러 취급하고는 있으나 月精寺와는 별도로 독립시키고 있으며 심지어 閔漬의「五臺山聖迹幷新羅淨神太子 孝明太子傳記」와 三國遺事 卷三, 塔像 第四,「 臺山月精寺五類聖衆」에서는 월정사와 관련된 인물들로 慈藏, 信 孝거사, 信義頭陀, 有緣대사만을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표는 관련사료들과 연구 업적들을) 검토하여 우선 月精寺와 관련되어 거명되고 있는 慈藏, 信 孝거사, 信義頭陀, 有緣대사의 寺塔 조성 가능성과 聖德王대의 기사를 사안별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月精寺 寺塔의 역사를 구성해 보고자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