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월정사 보탑(8각9층) 사리장치 특징
- 주제全身舍利經에 따른
- 시대현해시대
- 저자강 순 형 (국립해양유물전시관 관장)
목차
위로 가기 월정사 보탑(8각9층) 사리장치 특징全身舍利經에 따른
강 순 형 (국립해양유물전시관 관장)
1. 펴는 말
2. 사리장치 내용과 특징
1) 차린 곳과 차림새
3. 특징자료 의미 밝힘
1) 전신사리경내용
2) 거울 넣음
3) 불상 모심
4. 월정사보탑 전신사리경
1) 상태
2) 자료비교
5. 양식편년 고찰
1) 전신사리경 유행에 따른
① 중국과 관계
② 탑·사리기와 비교
③ 총지사본과 비교
④ 기타 불상·사리기와 비교
6. 간추림
상세소개
위로 가기강원도 오대산 월정사는 누구나 알만큼 이름나 있다. 더구나 절 마당에 우뚝 선(15.15m) 8각9층의 특이한 寶塔(七寶塔, 국보48)과 그 앞에 꿇어 앉은 공양보살상으로 회자되고 있다.
나아가 학자 간에는 이 탑에서 일찍이 사리장치가 발견되어(1970.10.4~5)매우 주목받는 절이다.
여기서는 이 사리장치에 대한 특징을 알아내고자 한다. 곧, ①-8각9층이라는 보탑으로 세워졌고 그 속에
②-거울(청동경) 그것도 4점, ③-불상(도금은불입상), 특히나, ④-「全身舍利經」
2) 이 들어있어 한번 짚어둬야하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전신사리경을 받아들임과 그에 따른 시대상-의도, 사상, 신앙 및 새로운 造塔과 사리장치 특징이 나타나고, 유행했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