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美術史上 月精寺 八角九層石塔의 意義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韓國美術史上 月精寺 八角九層石塔의 意義

  • 주제韓國美術史上 月精寺 八角九層石塔의 意義
  • 시대현대시대
  • 저자정 영 호 (한국교원대학교 명예교수)
목차
위로 가기 韓國美術史上 月精寺 八角九層石塔의 意義
정 영 호 (한국교원대학교 명예교수)
1. 序言
2. 月精寺 八角九層石塔의 고찰
1) 石塔의 解體
2) 石塔의 復原
3. 高麗時代 石塔의 특성
4. 月精寺 八角九層石塔의 系譜와 특징
5. 結語 및 提言

상세소개
위로 가기

강원도 平昌郡 珍富面 東山里 月精寺 大寂光殿 바로 앞에 八角九層石塔이 건립되어 있다. 이 석탑은 각부 구성에 있어서 어느 塔보다도 우수하며 多角多層石塔을 대표하는 한국 유일의 석탑이어서 국보 제48호로 지정 보존되고 있다.

月精寺 창건과 그후 중창에 관해서는 월정사에 남아있는 기록에 의하여 잘 알 수 있는 바 그 내용을 간단히 요점만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신라 善德�王14년(645)에 자장율사가 창건하고 동시에 8각13층석탑에 佛舍利 37粒을 봉안하였다는데 여기의 13층석탑은 기단부를 탑신의 층으로 잘못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통일신라시대에는 聖德王이 월정사를 중수하였으며 고려시대에 이르러는 太祖6년(923)에 信孝居士가 중건하고 제25대 忠烈王2년(1276)에 信義 禪師가 三創하였다. 조선시대에는 太祖元年(1392)에 有緣大師가 四創하였고 제2대 定宗2년(1400)에는 太祖 가 幸行하여 �谷縣의 土地二十結을 특사하여 上院寺에 속한 寂滅寶宮의 香火資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후 19대 肅宗10년(1684)에 淸河禪師가 五創하였고 제21대 英祖20년(1744)에 回祿된 것을 朝家에서 英祖 28(1752)에 �創하였으며 제23대 純祖32년(1832)에 泳潭·仁坡·靜奄 등 諸禪師가 七創하였다는 것이다.

이와같이 월정사에 전해진 기록에 의하면 三國期 신라시대에 자장율사의 창건 이후 통일신라와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1355년간 유구한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사찰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現今에 이르러는 고신라시대나 통일신라시대의 이른바 창건 혹은 초창 당시의 유적 유물은 별로 조사됨이 없이 가장 오래인 유물로 고려시대의 기와편들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8각9층석탑은 아쉬운 월정사 고대 역사의 부족한 자료를 크게 보완하는 귀중한 유적 유물이라 하겠다. 월정사 8각9층석탑은 천년을 지나면서 여러 전란과 화재를 겪어 각 부분에 훼손을 보게 되었다. 더우기 6·25 동란 때 군인들의 사격 표적이 되어 상륜 부의 금속제 용차와 보주등이 총탄에 맞아서 파열되었고 보개석도 8각에 여덟 모 만이 겨우 보존되고 꽃문양 들은 파손된 부분이 많았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보아 동북방으로 약간 기울어졌고 오랜 세월 風磨雨洗되어 풍화작용이 극심하였다. 특히 옥개석 부분에서는 각층을 볼 때 완전한 층이 적고 파손된 층이 많았으며 각층 옥개석의 8귀 전각에 달렸던 풍탁이 거의 半 이상이 결실되어 있었다. 이러한 모든 점에서 이 석탑을 전면 해체 복원하는 사업이 결정되어 1970년 10월3일에 해체 작업이 착수되었던 것이다.

이 석탑을 해체할 때의 월정사 상황을 살펴보면 월정사 기록에 보이는 七創의 건물들은 6·25동란때 모두 소실되고 당시 住持 장만화스님의 노력으로 법당이 새로 건축되었으며(전면5間, 長18.25m, 측면4間, 長 14.60m) 이로써 8각9층석탑은 법당 바로 앞에 서있는 석탑이 되었다. 석탑 남쪽 앞에는 보살좌상이 기울어진채 안치되었고 동쪽에는 승방과 객방을 겸한 요사 한 채가 있었으며 동쪽 80m되는 곳에는 四天王門이 세워 졌으나 단청을 못한채 좌우에 각 2구씩의 사천왕상을 조성하는 중이었다.

오늘에 이르러 월정사는 원위치를 찾아 건물을 짓고 경내를 정리하며 점차적으로 옛 모습을 갖추어 가고 있다. 이와같은 발전이 계속되어 옛 모습대로의 복원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그러나 어떠한 복원, 경우라도 월정사에서 중심을 이루는 것은 8각9층석탑이다. 이러한 모든 점에서 석탑의 중요성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 그리하여 이 석탑이 지니고 있는 한국미술사상의 意義를 살펴보려는 바 우선 석탑 자체의 고찰이 先行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석탑의 해체 과정을 세밀히 살펴서 석탑이 가지고 있는 세부구조, 다른 석탑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적인 架構 의장 등을 파악할 것이며 석탑 복원으로써 이루어진 오늘날의 석탑의 모습을 고찰해 보려고 한다. 그리고 고려시대에 유행된 석탑의 특성을 찾아 월정사8각9층석탑의 위상을 밝히려는 바 여기에는 이 석탑의 계보와 특징적인 면을 찾아봄으로써 석탑이 차지하는 역사적 의의를 알아보 고자 한다. 한편 최근에 새로이 발견 조사된 석탑의 남쪽 일부기단에 대한 의견도 提言삼아 언급하고자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