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상원사 목문수동자상의 연구
- 주제상원사 목문수동자상의 연구
- 시대현대시대
- 저자문 명 대 (동국대 교수)
목차
위로 가기 상원사 목문수동자상의 연구문 명 대 (동국대 교수)
Ⅰ. 머 리 말
Ⅱ. 五台山信仰의 전개와 文殊童子像의 造形背景
Ⅲ. 上院寺 木文殊童子像의 圖像特徵
Ⅳ. 上院寺 木文殊童子像의 樣式 編年
Ⅴ. 上院寺 木文殊童子像의 彫刻史的 意義
Ⅵ. 맺 음 말
상세소개
위로 가기五台山 上院寺는 오대산 五台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서 우리나라 오대산 신앙의 중심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 오대산 신앙은 중국 오대산 신앙 가운데 당나라 오대산 신앙의 영향을 받아 밀교화된 화엄종사상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상원사는 이런 오대산 신앙을 수용하여 발전시킨 중심역활을 해 왔다고 할수 있다. 따라서 상원사는 일찍부터 매우 주목되어 왔던 것이다.
조선초기 세조대왕은 상원사를 중시하여 직접 친행하면서 상원사를 중창하는데 손수 모연문을 쓰는 등 적극적으로 앞장서기까지 했다. 이 당시 많은 걸작 불교미술들이 조성되었겠지만 현존하는 예는 그렇게 많지 않은 편이다. 석탑, 석동물상, 제석천상, 문수동자상 등만 현존하고 있는데 특히 문수동자상은 세조의 따님이 발원하여 조성한 왕실발원의 불교조각이어서 당대 최고의 걸작으로 손꼽히고 있다. 더구나 이 상의 복장에서 조선초기 불교 및 불교예술과 복식 연구에 귀중한 자료들이 나와 더욱 그 진가를 높여 주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이 상원사 목문수동자상에 대해서 조성배경, 도상특징, 양식적 편년, 그 의의를 심도있게 분석하여 조선 불교조각사에서의 위치를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