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의 불탑사리신앙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한국불교의 불탑사리신앙

  • 주제佛舍利信仰과 韓國의 舍利莊嚴
  • 시대B.C 480
  • 저자金 禧 庚 (前 동국대학교 강사)
목차
위로 가기 한국불교의 불탑사리신앙
佛舍利信仰과 韓國의 舍利莊嚴
金 禧 庚 (前 동국대학교 강사)
Ⅰ. 舍利信仰
1. 舍利信仰과 塔婆의 發生
2. 廣義의 舍利
3. 文獻上에 나타난 舍利觀의 變遷
4. 舍利莊嚴과 舍利具
5. 舍利裝置
Ⅱ. 印度·中國의 舍利莊嚴
1. 印 度
1) 阿育王의 八萬四千塔과 舍利容器
2) 塔內에서의 舍利裝置 位置 3) 文獻上의 造塔法
2. 中 國
1) 舍利受容
2) �朝時代(222~589)
3) 隋代(581~618)
4) 唐代(618~907)
Ⅲ. 韓半島의 舍利莊嚴
1. 三國時代
1) 高句麗
2) 百 濟
3) 古新羅
2. 統一新羅
- 사리장치가 발견된 주요탑
1) 경주 感恩寺址西三層石塔舍利具
2) 경주 皇龍寺 木塔址 遺物
3) 경주 皇福寺址三層石塔 舍利具
4) 경주 佛國寺三層石塔(釋迦塔)舍利具
5) 칠곡 松林寺五層塼塔 舍利具
6) 대구 桐華寺毘盧庵塔(敏哀大王)舍利壺
7) 산청 石南寺址佛臺座永泰二年銘舍利壺
8) 안동 �河寺塼塔址 舍利具

상세소개
위로 가기

西�紀元 前 4世紀(B.C 480 일설(說)에는 386) 印度의 쿠시나가라(Kusinagara)의 사라쌍수 밑에서 석가 모니가 涅槃에 들어 80세의 생애를 마치자 그의 弟子들은 인도의 葬法에 따라 유체를 茶毘(화장)하였다. 이때 나온 遺骨이 舍利이니 眞身舍利 또는 肉身舍利라고도 하여 이 聖者를 崇仰하고 永遠히 �拜하기 위하여 塔 婆(塔)를 세워 舍利를 그 속에 奉安하게 되었다. 그들은 舍利를 바로 佛陀로 믿었고 塔속에 世尊이 계신다고 생각하였다. 塔이 寺刹의 中心部를 차지하게 되며, 寂滅寶宮에는 佛像을 모시지 않게 됨을 알 수 있겠다. 舍利 信仰은 佛敎의 根源的인 信仰이라 하겠으며, 佛敎가 傳播되는 곳에는 佛敎의 象徵인 塔이 세워지게 되니 舍利 와 塔은 분리해서는 생각할 수 없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