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석가탑 발견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제작시기
- 주제석가탑 발견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제작시기
- 시대고려시대
- 저자郭 丞 勳
상세소개
위로 가기우리가 자랑하는 민족문화의 유산 가운데 하나인 ≪無垢淨光大陁羅 尼經≫(이하 ‘무구정경’이라 약칭함)은 탑을 만들거나 수리할 때 얻을 수 있는 공덕을 설명한 造塔功德經이다. 신라시대에는 이 불경에 의거 해 탑을 만들거나 수리해왔지만, 고려시대에는 ≪一切如來心秘密全身 舍利寶篋印陁羅尼經≫(이하 ‘보협인경’이라 약칭함)에 의거하였다. 그런데 석가탑에서 발견된 ≪무구정경≫이 墨書紙片을 정리 판독하면서 고려시대에 만들어져 봉안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가 나 왔다. 비록 가능성을 반반으로 하였지만, 기왕의 검토와 필자의 연구 로 볼 때 당시의 시대적 흐름과 너무도 달라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이 사실에 대해서는 2년 전에도 신문지상에 보도되어 여러 학자들 이 반론을 제기하였다. 서지학 분야에서는 이미 중국학자들이 ≪무구정경≫의 중국제작설을 들고 나왔지만, 우리 측 학자들에 의해 여 지없이 반박되어 왔다. 이에 따라 필자는 비록 완전한 내용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현재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도 충분히 불식시킬 수 있어 이를 비판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