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화엄불교의 윤리적 성격에 관한 연구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신라 화엄불교의 윤리적 성격에 관한 연구

  • 주제원광, 자장, 의상의 구법활동을 중심으로
  • 시대신라시대
  • 저자허 정 희(동국대 강사)
목차
위로 가기 신라 화엄불교의 윤리적 성격에 관한 연구
원광, 자장, 의상의 구법활동을 중심으로
허 정 희(동국대 강사)
1. 서 론
2. 구법활동의 신라적 배경
3. 구법 화엄불교의 신라적 수용
4. 신라 화엄불교의 윤리적 성격
5. 결 론

상세소개
위로 가기

대체로 한반도에 불교 전래 시기는 고구려․백제․신라의 국가적 전환기와 맞물려 있고, 한국불교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러한 불교의 한국적 “수용” 271) 의 과정에서 특이한 점은 신라의 경우이다. 왜냐하면 고구려에는 소수림왕 2년

(372년) 前秦의 승려 順道에 의해, 백제에는 침류왕 원년(384) 東晋

의 승려 마라난타에 의해 불교가 공식적으로 전래되었지만, 신라 에는 전래의 시기에 대해 여러 의견들이 있기 때문이다. 272) 또한 신라에서 불교는 법흥왕 14년(527) 이차돈의 순교라는 희생을 통해서 공인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4세기부터 5세기에 이르는 기간 동안 신라는 삼국 가운데 가장 후진적 위치에 있었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역사적 사실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삼국 중 가장 지리적․정치적 기반이 약했던 신라가 6세기부터 7세기의 기간 동안 불교를 바탕으로 삼국 통일을 이룩했던 점또한 극적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통일에 대한 신라의 국가적․국민적 원동 력에서 과연 중국에서 구법의 의미와 구법승의 역할이 무엇이었 는지를 검토하는데 있다. 구법의 구체적인 주제는 화엄사상이다.

그러나 여기서 한 가지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예컨대, 통일 전쟁 시기에 화엄사상이 신라의 강력한 정치적 토대였다는 역사학 계의 견해가 대체로 일반적이다. 273) 또한 당시 신라 구법승의 역할과 관련해서도 너무 정치적 경향만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신라 화엄불교의 전제왕권 강화 기능에만 초점이 맞춰진 경향이 있다. 한 시대의 사상 및 가치관이 사회에서 커다란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실제 삶을 이끌어야만 한다. 만약 당시 화엄사상이 신라인들의 실제적 삶을 주도하지 못하고 왕권강화에만 기여했다면, 신라의 통일은 사실상 불가능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번 연구는 구법의 목적이자 대상으로서 화엄불 교와 당시 구법승의 역할을 신라인의 삶의 맥락에서 재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통일기 신라, 특히 6세기부터 8세기에 이르는 기간에 있어서 구법의 정치적 의미뿐만 아니라 윤리적 의미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화엄사상이 어떻게 신라적으로 수용되었는지를 가늠해 보기로 한다. 여기서는 당시 신라의 대표적인 구법승이었던 圓光, 慈藏, 義湘의 구법 관련 활동에 초점을 맞추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화엄불교가 구법을 통해 당시 신라 사회에 어떤 윤리적 삶을 이끌었는지를 가늠해 볼 수있을 것 같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