續高僧傳 「慈藏傳」과 三國遺事 「慈藏定律」의 원전 내용 비교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續高僧傳 「慈藏傳」과 三國遺事 「慈藏定律」의 원전 내용 비교

  • 주제續高僧傳 「慈藏傳」과 三國遺事 「慈藏定律」의 원전 내용 비교
  • 시대신라시대
  • 저자남무희
목차
위로 가기 續高僧傳 「慈藏傳」과 三國遺事 「慈藏定律」의 원전 내용 비교
남무희
1. 머리말
2. 관련 기록 비교 검토

상세소개
위로 가기

신라 中古時代 불교계를 대표하는 승려로는 원광과 자장을 들 수 있다 이에 필자는 우선 慈藏의 생애를 복원하였다 이때 기본자료로 검토한 자장 관련 기록은 道宣 의 續高僧傳 에 실려 있는 唐新羅國大僧統釋慈藏傳 과 唐京師普光寺釋法常傳 및 道世의 法苑珠林 에 수록된 唐沙門釋慈藏傳 이 있다 이 외에 국내 자료로는 新羅皇龍寺九層木塔刹柱本記 와 三國史記 新羅本紀 및 三國遺事 慈藏定律 의 기록이 있다 이러한 자료 가운데 속고승전 자장전 과 삼국유사 자장정율 은대체로 동일한 내용을 서술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하지만 속고승전 의편찬시기가 앞설 뿐만 아니라 그 내용에 있어서도 삼국유사 자장정율에 비해 보다 원형의 자료를 전하고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에 반해 三國 遺事 는 세기 후반까지 변천한 고려불교사가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으며 일연이 살았던 당시의 불교 상황을 반영하면서 편찬되었다 말하자면 고려시대에 작성된 자료는 더 이상 고대문화의 원형일 수 없으며 그것은 오히려 고대 문화에 대한 고려시대인들의 인식이 反影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속고승전 의 자장전 과 삼국유사 자장정율 의원전 내용을 미시적으로 비교하면서 두 기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삼국유사 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慈藏 과 관련된 기록이 갖는 의미를 밝히고자 할 때에도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 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그러한 부분까지 구체적으로 검토하지는 못하였다 앞으로는 이러한 부분을 염두에 두면서 자장 관련 기록을 계속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많은 질정을 바란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