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탄허선사의 장자(莊子)에 대한 불교적 해석
- 주제탄허선사의 장자(莊子)에 대한 불교적 해석
- 시대현대시대
- 저자권기완(문광) 조계종 교육아사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과 박사수료
목차
위로 가기 탄허선사의 장자(莊子)에 대한 불교적 해석권기완(문광)
조계종 교육아사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과 박사수료
Ⅰ. 머리말
Ⅱ. 탄허와 장자(莊子)
Ⅲ. 남화진경역해(南華眞經譯解) 주석의 특징
Ⅳ. 장자에 대한 불교적 해석
1. 「소요유(逍遙遊)」의 무기(無己)
2. 「제물론(齊物論)」의 물화(物化)
3. 「양생주(養生主)」의 연독(緣督)
4. 「인간세(人間世)」의 심재(心齋)
5. 「덕충부(德充符)」의 망형(忘形)
6. 「대종사(大宗師)」의 좌망(坐忘)
7. 「응제왕(應帝王)」의 혼돈(渾沌)
Ⅴ. 맺음말
상세소개
위로 가기탄허 택성(呑虛 宅成, 1913-1983)은 현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고승으로 대선사요 대강 백이자 대석학이었다. 불교의 선(禪)과 교(敎)를 회통하여 선교겸수(禪敎兼修)와 정혜쌍수 (定慧雙修)를 정립시키고자 노력했고, 동양의 유불선(儒佛仙) 삼교사상을 심성(心性)의 관점에서 일이관지(一以貫之)하여 융합회통(融合會通)했다. 인재양성을 위해서 오대산 수도 원과 영은사 수도원 등을 운영하며 평생 강의와 교육 불사에 진력했다.
특히 역경사업(譯經事業)에 일생동안 매진하여 불교의 사미과 ․ 사집과 ․ 사교과 ․ 대교과의 전통강원의 모든 교재를 현토 ․ 완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