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한국오대산의 개창과 고대사 연구
- 주제한국오대산의 개창과 고대사 연구
- 시대통일신라말
- 저자X
목차
위로 가기 한국오대산의 개창과 고대사 연구Ⅰ. 序論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와 방법
Ⅱ. 자장의 입당과 중국오대산의 종교체험
1. 문제제기
2. 자장의 입당연도와 목적
3. 장안과 오대산의 무게비중
4. 오대산 종교체험의 장소와 내용
5. 소결
Ⅲ. 자장의 귀국 후 행보와 한국오대산
1. 문제제기
2. 자장의 귀국과 선덕여왕
3. 자장의 활동과 계율
4. 오대산행의 의미와 문수신앙
5. 소결
Ⅳ. 보천과 효명의 오대신앙 성립배경
1. 문제제기
2. 보천과 효명의 오대산 은거
3. 보천과 효명의 종교체험과 상원사
4. 차 공양과 우통수의 문제
5. 소결
Ⅴ. 보천의 오대신앙 완성과 의의
1. 문제제기
2. 보천 오대신앙의 구조
3. 보천 오대신앙의 사상적인 다양성과 특징
4. 하원의 문수갑사와 월정사의 유래
5. 소결
Ⅵ. 신효거사의 이질성과 오대산의 복합신앙
1. 문제제기
2. 신효거사와 유교의 효
3. 오류성중에 대한 도교적인 영향
4. 오대산의 복합신앙적인 특징
5. 소결
Ⅶ. 신의두타와 사굴산문의 영향
1. 문제제기
2. 범일의 영향과 명주지역
3. 신의두타와 오대산
4. 사굴산문의 영향과 오대산
5. 소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