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황룡사구층목탑의 건립 배경 고찰
- 주제원향선사설을 중심으로
- 시대신라시대
- 저자X
목차
위로 가기 황룡사구층목탑의 건립 배경 고찰- 원향선사설을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태화지용설과 원향선사설 1. 태화지용설 2. 원향선사설
Ⅲ. 원향선사설의 타당성 검토 1. 태화지용설의 문제점 2. 원향선사설의 당위성
Ⅳ. 맺음말
상세소개
위로 가기皇龍寺九層木塔은 신라가 국가적 자원을 동원하여 축조한 건축물 가운데 하나로, 자장에 의해 창건되었다. 황룡사구층목탑은 복잡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 건립된 조형물이기 때문에, 당시의 정치이념이 투입된 상징물이 되었을 뿐 아니라 국민을 통합시키기에 충분한 매개체가 되었다. 그래서 이는 신라의 세 가지 보물 가운데 하나로 인식되었고, 신라 문화의 일부분으로 당시의 신라사회를 유추해 보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가지게 된 것이다.
지금까지 황룡사구층목탑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먼저 황룡사의 사지 발굴 조사를 비롯하여 창건 규모와 가람배치가 파악되었고, 출토된 유물을 기본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더하여 세부적으로는 황룡사 내에 조성된 조형물에 입각하여 역사와 문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본 논문이 쓰여 졌다. 하지만 이상의 많은 논문들 가운데서도 황룡사구 층목탑 건립설에 관해서는 부분적으로만 언급되어 있을 뿐, 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 결과는 출간되지 않았다.
본고는 황룡사구층목탑 건립설을 초점으로 원향선사설과 태화지용설의 근거 바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지금까지 남아있는 기록물을 비교, 검토하여 타당성의 여부를 판단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업은 고대의 신라사회를 고찰함에 있어 좀 더 근접한 지식을 가져다줄 수 있는 결과물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