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룡사구층목탑의 건립 타당성 검토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황룡사구층목탑의 건립 타당성 검토

  • 주제태화지용설을 중심으로
  • 시대신라시대
  • 저자X
목차
위로 가기 황룡사구층목탑의 건립 타당성 검토
태화지용설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원향선사설과 태화지용설
1. 원향선사설
2. 태화지용설
Ⅲ. 태화지용설의 타당성 검토
1. 원향선사설의 문제점
2. 태화지용설의 당위성
Ⅳ. 맺음말

상세소개
위로 가기

慈藏에 의해 창건된 皇龍寺九層木塔은 신라가 국가적 자원을 동원하여 건립한 건축물 가운데 하나이다. 황룡사구층목탑은 왕권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축조되었기 때문에 당시 정치이 념의 상징물이 되었고, 국민정신의 통합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그래서 이는 신라삼보로써, 호국을 상징하는 국가적인 보물로까지 상정될 수 있었던 것이고, 이와 동시에 문화총체의 일부 분으로 신라인이 구현한 사회의 주체성을 보존하는 중요한 매체로서의 역할까지 가지게 되었 다.

황룡사구층목탑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선적으로는 황룡사사지의 발굴조사를 통해서 그 규모와 가람배치가 파악되었고, 그곳에서 출토된 유물을 바탕으로 기본 지식이 축적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에 더 나아가 황룡사의 조형물에도 초점이 맞춰져 역사적 배경과 문화적 의미를 살펴본 많은 논문이 출간되었다. 그럼에도 황룡사구층 목탑 건립에 관한 설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언급만 되어 있을 뿐 구체적으로 조사된 논문은 쓰이지 않았다.

본고는 황룡사구층목탑 건립설을 중심으로 원향선사설과 태화지용설에 대해 살펴보고, 지금 까지의 기록을 바탕으로 두 가지의 설 가운데 어떤 이론이 더 타당한지의 여부를 판단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업은 현 시점에서 신라사회를 파악함에 있어 당시사회에 더 근접한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결과물이 될 것이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