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허의 周易觀과 佛敎觀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탄허의 周易觀과 佛敎觀

  • 주제주역선해 譯注를 중심으로
  • 시대조선시대
  • 저자고영섭ㆍ동국대학교(서울) 불교학과 교수
목차
위로 가기 탄허의 周易觀과 佛敎觀
주역선해 譯注를 중심으로
고영섭ㆍ동국대학교(서울) 불교학과 교수
Ⅰ. 문제와 구상
Ⅱ. 탄허의 三玄 인식
Ⅲ. 탄허의 주역선해 역주
1. 지욱의 以禪入儒적 주역 선해
2. 탄허의 以儒入禪적 주역선해역주
Ⅳ. 탄허의 禪法 이해
Ⅴ. 정리와 맺음

상세소개
위로 가기

부모의 몸을 빌어 태어나 숨이 멈춰 떠날 때까지 대략 일백년 동안의 인간의 삶은 다양하게 변주된다. 만일 그가 문인, 사가, 철인, 선사, 예인 등과 같은 공인公人이라면 그의 살림살이는 더욱 더 다채로워질 것이다.

백 년 전 유학을 가학으로 한 집안에서 태어난 呑虛 宅成(913~1983 1 )은 儒 者에서 道者를 거쳐 漢巖 重遠(1876~1951 2 )과 약 3년간 도와 관련된 서신 20여통을 주고받다가 22세에 佛者(佛子)로 탈바꿈하였다. 출가 이후 그는 한평생을 수행자, 역경가, 교육자, 경세가 등으로 살면서 역경 결사와 교육 불사에 헌신을 하였다. 탄허는 학인 양성을 위해 한암이 세운 강원도 삼본산 승려연합수련소에 이어 몸소 월정사 수도원과 영은사 수도원을 세워 인재 불사를 하였고, 월정사 方山窟과 영은사 一笑窟에서 내외전을 譯注하며 역경 결사를 하였다. 탄허는 “한국불교의 미래는 법당 100채를 짓는 것보다 학인들을 공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는 교육이념 아래 인재 불사에 헌신하였다.

그가 수많은 내전內典 은 물론 外典  까지 아우르며 현토 역해하고 강술 강론한 것은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교재의 편찬이 무엇보다도 급선무임을 자각했기 때문이다. 흔히 儒者는 사서와 오경의 세계관을 자신의 거울로 삼아 내성외왕(內聖外王)적 삶을 추구하는 君子를 이상적 인간상으로 삼는다. 이와 달리 道者는 道德經 과 南華經  및 열자와 황제내경 등의 세계관을 자신의 거울로 삼아 無爲自在하는 삶을 지향하는 지인 (至人, 神人, 聖人)을 이상적 인간상으로 삼는다. 반면 佛子(佛者)는 아함경 등의 세계관을 통해 자신의 깨달음을 추구하는 아라한상과 반야경 과 법화경 및 정토경과 화엄경과 등의 세계관을 통해 타인의 깨달 음을 이루려는 보살상이 하나의 몸속에 구현된 佛體(붓다)를 궁극적 인간 상으로 삼는다. 군자와 지인과 붓다는 각기 이름은 다르지만 영원한 대자 유의 삶을 지향한다는 점에서는 상통하고 있다. 하지만 삼세의 인과에서 자유롭게 벗어나 영원한 대자유를 추구하는 붓다는 현세에서 人乘을 추구 하여 공부를 하는 군자와 天乘을 추구하여 수양을 하는 지인과는 구별된 다.

芬皇 元曉(617~686) 이래 통일신라 말기에 佛道儒 삼교에 뛰어난 재주 (안목)를 지녔던 인물[三絶]로 널리 알려져 온 고운 최치원(857~?) 이후 한국사상사에서는 적지 않는 ‘삼절’들이 있어 왔다. 이를테면 고려 중기의 敎 雄과 李奎報 등을 비롯하여, 조선 초중기의 涵虛 己和와 淸寒 雪岑, 虛應 普雨와 淸虛 休靜, 白坡 亘璇과 茶山 丁若鏞, 秋史 金正喜와 草衣 意恂, 月 窓 金大鉉과 鏡虛 惺牛 등은 대표적인 ‘삼절’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유교의 세계관을 가지고서 다른 세계관을 가지게 되면 ‘異端’ 혹은 ‘亂賊’ 또는 ‘背敎’라고 핍박하던 조선 성리학적 세계관 이후 이들 삼절의 계보는잘 이어지지 못했다. 때문에 대한시대(1897~ )에 살았던 탄허는 이러한 삼절의 계보를 이은 희유한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