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허스님의 예지, 그 배경과 의의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탄허스님의 예지, 그 배경과 의의

  • 주제탄허스님의 예지, 그 배경과 의의
  • 시대1972년
  • 저자김성철ㆍ동국대학교(경주) 불교학과 교수
목차
위로 가기 탄허스님의 예지, 그 배경과 의의
김성철ㆍ동국대학교(경주) 불교학과 교수
Ⅰ. 한국의 정치적 암흑기에 풍미했던 탄허의 도참설
Ⅱ. 탄허의 출가 전 학문적 履歷과 도참설의 근거
Ⅲ. 탄허의 도참설, 그 虛와 實에 대한 종합적 분석
Ⅳ. 탄허의 도참사상 -‘善意 가득한 當爲의 미래학'

상세소개
위로 가기
선과 교에 정통했을 뿐만 아니라, 사서삼경과 노장사상, 역사와 민족종교, 음양오행과 풍수지리 모두를 꿰뚫는 혜안을 갖춘 분이 있었다. 간산 탄허 스님이었다. 탄허 스님의 활동기가 1972년 10월 유신 이후 1976년 박정희 피살과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으로 이어지는 한국의 정치적 암흑기였기에 세인들은 스님의 가르침 가운데 특히 한반도의 미래에 대한 도참적 발언에서 희망을 찾으려 하였다.
탄허 스님은 증산교의 일파인 보천교의 강한 영향 아래서 성장하였고, 면암 최익현 계통에서 유학을 공부하였는데, 스님의 예지에서 보이는 ‘진한 민족주의적 정서’는 이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반도와 지구의 변화에 대한 스님의 도참적 발언들은 주로 김일 부의 정역에 근거한 것으로 많은 내용들이 그대로 실현되었지만, 일어나지 않은 일들도 많이 있었다. 스님의 도참사상은‘미래에 대한 예언’이라기보다, 세계의 변방에서 정치적 암흑기에 신음하던 우리 사회의 구성원을 향해 던진 희망의 메시지였다고 생각된다.
탄허 스님의 예지는 요컨대‘선의 가득한 당위의 미래학’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