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학술세미나
저자 : 도윤수, 이수예, 유근자, 정진희
2024년 10월 12일 학술대회 자료집
조선시대 왕실원찰 오대산 상원사 불교조각 학술세미나
저자 : 탁효정, 유근자, 심주완, 이분희, 손영문, 박윤미
2022년 10월 1일 학술대회 자료집
2016년 월정사탑돌이보존회 학술토론회
저자 : 홍윤식, 자현스님, 혜일스님, 장정룡
2016년 2월 18일 학술대회 자료집
2013년 월정사탑돌이보존회 학술 보고회
저자 : 홍윤식, 윤광복, 김용덕, 구미래, 한상길, 자현스님
2013년 11월 23일 학술대회 자료집
오대산과 사명유정
주제 : 사명대사 탄신 480주년 친필유묵 귀환기념 학술대회 시대 : 조선 저자 : 윤창화, 한상길, 김풍기, 지인스님, 황인규
2024년 10월 4일 학술대회 자료집
나를 찾아 떠나는 선재길
주제 : 오대산 월정사 '성지순례명상의 이론과 실제' 학술세미나 저자 : 인경스님, 혜호스님, 식활스님, 도원스님
2024년 6월 14일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 고중세 오대산의 고승과 역사
저자 : 남무희, 장미란, 자현스님, 이철헌
2025년 1월 11일 학술대회 자료
한국불교에서의 제석천이 가지는 의미와 제석신앙
저자 : 자현스님, 심재관, 이병욱, 이길산, 현주스님, 이철헌, 이종수
2024년 8월 10일 학술대회 자료집
오대산의 결사와 금강경봉찬기도의 의미
주제 : 오대산 월정사 세미나 저자 : 자현스님, 무진스님, 김광식, 손강숙, 승우스님, 혜묵스님
2024년 12월 14일 세미나자료집
한국 五臺山信仰의 성립과 전개
주제 : 한국 五臺山信仰의 성립과 전개 시대 : 현대시대 저자 : 염 중 섭(자 현) 지도교수 윤 선 태
慈藏은 圓光과 더불어 中古時代 불교를 대표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승려이다. 이는 자장 에 대한 자료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자장의 ‘戒律’과 ‘문수신앙’ 및 ‘비조격 인물의 특수성’은, 자장이 『三國遺事』를 통틀어 가장 많이 등장하는 승려가 되도록 한다. 실제로 『삼국유사』에서 살펴지는 자장의 등장빈도나 위상은, 한국불 교를 대표하는 元曉나 義湘(相)을 능가한다. 이는 한국불교에서 자장이 차지하는 위치를 단적으로 나타내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장과 관련된 두 자료군인 ‘중국자료’와 ‘한…
보천과 효명의 오대신앙
주제 : 보천과 효명의 오대신앙 시대 : 신라시대 저자 : X
자장의 오대산 개창 이후로 오대산을 찾게 되는 중요한 인물은 신라중대 말의 보천과 효명 이다. 대산오만진신에는 자장의 정암사에서의 비극적인 말로 이후에 사굴산문 범일의 문인인 두타승 신의와 수다사 장로 유연에 대해서 기록하고 있다. 신의는 오대산사적에는 범일의 10대 제자 중 한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는 인물이다. 범일의 연대가 810 ~ 889년이니까, 신의는 이보다 최소 10년 이상 늦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범일 이 당에 유학해서 회창법란과 관련되어 귀국해 자리를 잡은 인물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신 라인 제자와의 연…
한국 불교계 삼보사찰의 성립과 지정
주제 : 한국 불교계 삼보사찰의 성립과 지정 시대 : 신라시대 저자 : 황 인 규 / 동국대학교(서울) 역사교육과 교수
삼보사찰로 알려진 통도사와 해인사, 송광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 삼보사찰은 현행 일부 중등교과서에서도 실려 소 개되는 등 일반화된 상식이다. 삼보사찰의 성립은 우리가 아 는 바와 같이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라 조선말이후에야 성립된 것이다. 통도사는 신라의 고승 자장에 의해 불사리가 봉안되면 서 불보사찰로서의 위상이 지녀왔으며, 해인사는 조선초 법보 인 팔만대장경판이 안치되면서 부터이다. 송광사는 보조국사 지눌이 수선사 결사운동을 전개하면서 그의 문도(손) 15국사 가 배출된 이후이다. 송광사가 승보사찰로서의 위상이 …